회당 상세내용
제목/방영회 | 방영일 | 방영시간 | 상세보기 |
---|---|---|---|
MBC 네트워크 특선(DVS) - 문자예술 서예 , 1부/ 뉴스 특보: 이천 냉동 물류창고 화재 | 20080107 | 63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00- 프롤로그
(문자에서 탄생한 예술 서예, 그래서 서예는 인류문명의 정수. 서예로 부터 우리는 문자로 새긴 과거의 혼을 만나고 시대가 요구하는 미감을 확인할 수 있다) 00:03:12- 광개토대왕비 (압록강, 호태왕비 가는 길) - 김병기(전북대), 최광식(고려대) 교수/ 비석 설명 . 새겨진 글씨의 서체는 별다른 장식없이 단순, 강건하면서 웅장하며 점과 선만으로 이뤄짐 - 강우방(이화여대 교수)/ 고구려인의 기개가 살아있는 필획 00:07:05- 서예의 점과 획, 선 - 김응학(성균관대 교수) 설명/ 점은 정 속에 동을 포함하는것 - 획 . 순간으로 이루어지는 살아있는 점의 연속으로서 글자의 살이자 힘줄이며 뼈대, 정도준(서예가) 설명 - 선/ 손으로 붓을 잡고 말을 적는다는 뜻 - 서예의 글자체/ 전서, 예서, 해서, 행서, 초서 00:09:14- 서예의 발전 - 중국/ 천안문, 서법 - 일본/ 황궁, 서도, 오노데라 게이지(서도 평론가) - 한국/ 서예 예술로 이해 . 한글 창제 이후엔 서예필법을 창안 . 서예라는 단어가 문헌에 처음 등장한 <고려사>, 조선시대에는 서도라는 용어와 혼용 . 서예라는 용어를 정식으로 사용하게 된 것은 광복 후 손제연 (서예가)이 주장하면서 부터임 00:12:14- 서예는 음악이자 무용/ 이주영(서예가), 주영(중국 서법가) 설명 00:13:50- 서여기인: 글씨는 곧 그 사람이다 - 대만 고궁박물관에 소장된 작품/ 한식시권(소동파) - 서여기인을 구체화한 문자향서권기/ 추사 김정희의 완당전집 00:15:18- 인성교실/ 전주향교 서예강습(서예가 김승방 지도) 00:16:30- 중국의 문자예술 - 고대문명의 발상지 - 중국문명은 갑골문자에서 부터 문자예술 탄생 - 은허 유적지 . 15만여점의 갑골조각 발견, 새겨진 글자가 갑골문자, 상형문자 - 하남박물원/ 전시된 제기와 그릇들 - 중국 국제서법가협회 - 서안 비림박물관 . 중국 서예의 전시장이자 교과서 . 난정서/ 왕희지, 조전비, 희평석경잔석, 발동파한식시/ 황정견 - 중국서예가 급격히 쇠퇴한 중국문화혁명기/ 대자보 통해 명맥유지 - 1970년대 후반 개혁개방정책으로 다시 활력을 찾은 중국서예 - 북경반가원 00:22:33- 한국의 서예 역사 - 경남 울진 반구대 암각화 - 서예 관련 유물/ 다호리 붓, 고광의(동북아역사재단 연구원), 삭도 - 추사 김정희/ 종가, 봉은사의 판전, 유홍준(미술 평론가) . 대흥사(전남 해남), 세한도 00:31:04- 한국적 미감의 뿌리 - 광개토대왕릉, 광개토대왕비(호태왕비)/ 중국 집안 . 김병기(교수)/ 광개토대왕비 서체에 대한 연구 - 임나일본부설(일본이 한반도 남부를 침략, 6세기 중엽까지 지배설) . 최광식(고려대 교수)/ 변조 글씨로 의심되는 도.해.파 세자 - 서체의 마감/ 광개토대왕 호우, 중원 고구려비 . 중원고구려비(충주시 가금면) 서체는 광개토대왕비 서체와 비슷 . 신라 냉수리비(경북 영일), 신라 봉평비(경북 울진), 백제 무령왕릉(충남 공주)/ 무령왕 지석, 무령왕비 지석, 척주동해비(강원도 삼척)/ 미수 허목의 전서체 글씨, 대흥사(전남 해남)/ 창암 이삼만 글씨 . 훈민정음 00:39:43- 뉴스 특보: 이천 냉동 물류창고 화재 00:54:25- 한국적 미감의 뿌리 - 훈민정음 서체는 광개토대왕비 서체와 닮아있음 00:55:03- 한국서예 역사상 여성의 등장 - 궁체(궁녀들이 쓴 글씨) . 정미가레시일긔, 서기이씨편지, 철종 왕후 필체 . 조용선(서예가) 설명 00:57:03- 서예가들 - 일중 김충현/ 한글 서예교본 <우리글씨 쓰는 법>, 자택(서울 염창동) - 갈물 이청경의 <한글교본> - 이노우에 유이치(일본 서도가)의 작품 '아! 요꼬가와 소학교' 00:59:40- 서예가들이 말하는 서예 . 주명(중국 서법가), 여태명(서예가) 01:00:50- 에필로그 01:02:30- 후CM |
|||
MBC 네트워크 특선 | 20071224 | 45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31- 프롤로그 (마한 700년의 역사가 녹아있는 영산강. 화려한 문화를 꽃피웠던 마한 문화와 영산강 유역의 집중해 있는 장고무덤의 비밀을 취재) 03:18- 장고산과 장고산마을/ 이현석(함평 문화원장) 인터뷰 04:32- 장고무덤 - 가장 작은 전남 담양 고성리 장고무덤(길이 30m), 가장 큰 전남 해남 방산리 장고무덤(높이 10m, 길이 77m) - 임영진(전남대 인류학과 교수)/ 만들어진 시기 06:06- 장고무덤이 만들어진 당시 사회변화 - 무덤이 조성된 시기는 5세기 말에서 6세기 중엽 . 당시 주된 세력은 나주 반남세력 - 서울 석촌동 고분, 경주 천마총 07:09- 장고무덤은 어디에서 왔나? - 일본 구마모토 후나야마 고분 - 일본 전방후원분과 한국 장고무덤 비교 - 일본 츠카보호즈 고분 - 일본의 전방후원분 분포 - 전남 광주 월계동 장고무덤 08:28- 전방후원분과 장고무덤의 관계 - 네모난 부분과 둥근 부분으로 이뤄진 장고무덤 . 둥근 부분은 매장시설이 들어가 있음 . 영산강 유역에서 발견된 장고무덤은 14개, 네모난 부분과 둥근 부분의 크기가 일정비율 - 광주 월계동 장고무덤 발굴 모습, 원형 복원, 석실 . 출토된 유물, 무덤에서 가장 많이 나온 토기는 일본계통 . 원통형토기, 삼족토기, 자라병토기 12:18- 장고무덤의 주인공은? - 일본에서 파견한 왜인 . 임나일본부/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 . 일본서기에 나타난 임나 영역의 축소과정/ 박천수(경북대 교수) - 백제가 파견한 왜계 관료다 . 박천수(경북대 고고인류학과 교수) 인터뷰 . 당시 백제 상황/ 노중국(계명대 교수) . 충남 공주 단지리에서 발견된 횡혈묘/ 출토된 뚜껑접시 . 전남 해남 조산 고분/ 출토된 조개 팔찌 . 장고 무덤(전남 담양, 전북 고창, 광주 요기동, 전남 해남) . 임영진(교수/ 전남대 인류학과) - 토착 세력자이다 . 박순발(교수/ 충남대 고고학과) 인터뷰 . 전남 나주 복암리 고분 - 일본에서 망명한 마한계 왜인이다 . 임영진(교수/ 전남대 인류학과) 인터뷰 . 일본 북부 규슈 . 니시진마치 유적터/ 부뚜막(권오영 한신대 국사학과 교수 인터뷰) . 일본 규슈국립박물관/ 두 귀 달린 시루, 잔무늬 거울 . 이로고쿠 역사 자료관/ 세발 무늬 토기 . 일본 스키자키 전방후원분 . 5세기 야마토 세력의 일본열도 통합과정 . 일본 마루쿠마야마 전방후원분/ 석실, 석관 . 전남 장성 영천리 고분/ 석실 32:15- 일본 하니와와의 관련성 - 광주 명화동 장고무덤(1994년 발굴) . 봉분 주위에 원통형 토기가 늘어서 있음 - 광주 월계동 장고무덤 . 원통형 토기, 장승형 목기 등 일본 토기와 목기와 비슷해 일본 하니와와의 관련성이 제기 - 일본 형상 하니와/ 토기, 인물, 집, 동물 등 여러가지 모습 35:47- 아사히 덴징 고분 - 1997년 한일 학계를 뜨겁게 달군 고분 발견 . 고분에서 출토된 하니와/ 항아리 모양 토기 38:21- 장고무덤만의 고유 특색 - 일본 가마즈카 전방후원분 - 백제사 사적공원/ 백제왕신사 - 일본 다카이다야마 전방후원분/ 청동다리미 - 전남 광양 마로산성, 전남 나주 복암리 고분 43:00- 에필로그 44:11- 후CM |
|||
MBC 네트워크 특선 | 20071120 | 48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27- 나무자전거/ 보물 04:02- 오프닝(이정열) 04:59- 나무자전거 - 사랑한다면 - 너에게 난 나에게 넌 15:02- 추가열/ 연주: 손오공 - 나 같은 건 없는 건가요 - 할 말이 너무 많아요 25:56- 윤태규 - My way - 너 때문에 살고 싶었어 35:10- 편지 사연/ 이선영, 서정철 부부 37:59- 이정열 - 그대 고운 내 사랑 - 일어나 46:13- 클로징 46:57- 추가열, 윤태규, 이정열/ 웃어요 - 연주: 손오공 47:40- 후CM |
|||
MBC 네트워크 특선(DVS) | 0분 | 상세열기 | |
방송정보
방송내용
|
|||
MBC 네트워크 특선(DVS) | 0분 | 상세열기 | |
방송정보
방송내용
|
|||
MBC 네트워크 특선(DVS) - 4050 리포트, 1부 | 0분 | 상세열기 | |
방송정보
방송내용
|
|||
MBC 네트워크 특선(DVS) - 4050 리포트, 2부 | 0분 | 상세열기 | |
방송정보
방송내용
|
|||
MBC 네트워크 특선(DVS) - 생명의 숲 순천만, 1부 | 0분 | 상세열기 | |
방송정보
방송내용
|
|||
MBC 네트워크 특선(DVS) - 생명의 숲 순천만, 2부 | 0분 | 상세열기 | |
방송정보
방송내용
|
|||
MBC 네트워크 특선 | 0분 | 상세열기 | |
방송정보
방송내용
|
프로그램 구입안내
02-789-0123- 평일:09:00~18:00
- 점심:12:00~13:00
- 토요일, 공휴일 휴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