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당 상세내용
제목/방영회 | 방영일 | 방영시간 | 상세보기 |
---|---|---|---|
우리말 나들이 20191205 | 20191205 | 1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 봄비는 쌀비다/ 쌀비: 옛날 봄비 뜻, 쌀을 맺게 하는 고마운 비
. 뜻: 농사철에 봄비가 적당히 와야 모내기에 도움이 되고 풍년이 든다는 속담 |
|||
우리말 나들이 20191204 | 20191204 | 1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왔다 얼어죽었다/
소한(小寒): 작은 추위, 대한(大寒): 큰 추위 . 뜻: 대한 때보다 소한 ?가 더 춥다는 속담 . 왜 소한이 더 추울까/ 24절기는 중국에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위치상 추위 차이, 첫 강추위인 소한 때 체감온도가 더 추움 |
|||
우리말 나들이 20191203 | 20191203 | 1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 동짓날이 추워야 풍년 든다/ 동지: 겨울 동(冬) 이를 지(至)
= 겨울에 이르다(올해 12월 22일) . 뜻: 동짓날이 추워야 논팥에 병해충이 얼어 죽기 때문에 다음해 농사가 잘 돼서 풍년이 든다는 속담 |
|||
우리말 나들이 20191202 | 20191202 | 1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 눈밭이 잘면 춥다/ 겨울에 포근할 땐 공중에서 눈이 뭉쳐서
함박눈, 추울 땐 눈이 뭉치지 않아 가루눈 . 뜻: 가루눈처럼 눈밭이 잘게 내리면, 차가운 기온이 내려와 날씨가 춥다는 속담 |
|||
우리말 나들이 20191129 | 20191129 | 1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 가을에 무 꽁지가 길면 겨울이 춥다/ 무는 늦가을부터 초겨울에 수확
. 바깥 날씨가 추워지면 영양분을 위해 땅 속 깊은 곳으로 뿌리를 내림 → 뜻: 무 꽁지가 길면 이미 춥다는 중거기 때문에 겨울이 춥다는 속담 |
|||
우리말 나들이 20191128 | 20191128 | 1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 거미가 줄을 치면 날씨가 좋다/ 동물의 행동으로 날씨를 예상
. 거미는 습성상 날씨가 저기압으로 흐릴 때 거미줄을 치지 않음 → 뜻: 날씨가 맑을 때 거미줄을 친다는 속담 |
|||
우리말 나들이 20191127 | 20191127 | 1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 개구리가 울면 비가 온다/ 농사를 지을 때 날씨가 중요
. 뜻: 공기 중에 습기가 많으면 개구리는 호흡에 영향을 받아 평소보다 많이 울기 때문에 비가 온다는 속담 |
|||
우리말 나들이 20191126 | 20191126 | 1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 가을비는 빗자루로도 막는다/ 가을비는 내리는 양이 적어서
빗자루로 비를 막을 수 있음 . 뜻: 가을비는 잠깐 오다 그치고, 빗줄기가 촘촘하지 못하단 속담 |
|||
우리말 나들이 20191125 | 20191125 | 1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 처서가 지나면 모기 입이 비뚤어진다/ 기온이 떨어지면
모기들이 피를 빠는데 힘이 없음 . 처서: 멈출 처(處) 더위 서(署) = 더위가 멈춘다 → 날씨가 서늘해지면서 모기도 서서히 없어진다는 속담 |
|||
우리말 나들이 20191122 | 20191122 | 1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 고기도 오래 씹으면 솜 맛이 난다/ 고기를 먹을 때 적당히
씹고 넘겨야지 너무 오래 씹으면 솜을 씹는 것처럼 느껴진다 . 뜻: 무엇이든 너무 오래 질질 끌면 재미 없고 의욕도 떨어진다 |
프로그램 구입안내
02-789-0123- 평일:09:00~18:00
- 점심:12:00~13:00
- 토요일, 공휴일 휴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