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당 상세내용
제목/방영회 | 방영일 | 방영시간 | 상세보기 |
---|---|---|---|
다큐멘터리 자연에서 배운다, 20회(해양조류의 낙원-무인도) | 19940309 | 41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2:36- 무인도의 실질적인 주인이자 나그네일 수
- 밖에 없는 새들의 생존과 인간과의 공존을 - 아름다운 영상과 함께 보여준다 전남 신인군 - 소흑산도,일명 가거도라고도 불리우는 이 - 무인도의 앞자락엔 구굴도라는 무인도가 있다. - 섬 전체를 뒤덮고 있는 밀사초 군락과 바위 - 사이 사이엔 22여만 마리의 바다제비와 - 괭이갈매기가 둥지를 틀고 있고,후박나무, - 동백나무 등의 상록수림이 우거진 사수도앞 - 바다에는 수직이착륙이 불가능한 슴새 무리 - 들이 한여름 오후의 황혼을 바라보며 휴식을 - 취하고 있다 또한 명아주풀이 숲을 이루고 - 무인등대만이 외롭게 섬을 지키고 있는 무인 - 도 신도에는 까치머리의 노랑부리백로와 사납 - 기로 소문난 괭이갈매기가 서로 생존경쟁을 - 벌이며 이웃으로 살아가고 있다. |
|||
다큐멘터리 자연에서 배운다, 19회(돌아온 늑대) | 19940302 | 39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2:41- 다큐멘터리 제작자 짐 더쳐와 늑대 생물
- 학자인 마이크 히미네즈가 3년동안 늑대떼와 - 함께 생활하면서 늑대의 습성을 관찰하고, - 늑대에 얽힌 신화와 그릇된 선입관을 벗기 - 려고 노력한다.미국 서부 48개주에서는 - 거의 완전히 멸종된 회색늑대. - 늑대는 지능이 발달한 고등 동물로 무리지어 - 살며,한가족의 유대가 강하고 위계질서가 - 뚜렷하며,장난을 좋아하고 기쁨을 나타낼 줄 - 안다.늑대가 이를 드러내며 으르렁거리는 - 것은 하급 늑대에게 권위를 나타내는 위협 - 이며,목을 빼고 짖는 것은 무리를 불러 - 모으는 신호이다.늑대떼는 병에 걸리거나 - 약한 늑대를 무리에서 추방하고 건강한 - 무리를 유지하는 습성이 있다. |
|||
다큐멘터리 자연에서 배운다, 18회(갈대) | 19940223 | 42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2:58- 낙동강 하구의 갈밭과 갈대를 중심으로
- 살아가는 강변사람들과 철새,이들을 둘러싸고 - 있는 대자연의 생태계를 보여준다.갈밭에 - 쌓인 부식질이 두꺼운 퇴적층을 이루고,그 - 곳에 갈대순을 먹기 위해 갈게와 털게들이 - 모여들고,이렇게 자란 갈대숲엔 계절이 - 바뀐줄도 모른채 먹이를 구하고 산란과 - 부화를 하며 살아가는 개개비와 같은 철새 - 들이 둥지를 틀고,천강갈,황조갈,밀갈,샛갈 - 들의 이 갈대들은 또 김대,김발,바제, - 쳇바위,삽자리 등의 모양새로 강가에 살아 - 가는 사람들의 생계가 되어준다. |
|||
다큐멘터리 자연에서 배운다, 17회(한강의 사계) | 19940216 | 40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2:54- 북한강,남한강 일대의 사계절 풍경과
- 이곳에서 서식하고 있는 조류,야생동물, - 곤충 그리고 식물들의 생태를 취재. - (빙어떼,물개구리,물자라,물닭,백로,후투티, - 개개비,대암산,끈끈이주걱,소양호,사마귀의 - 먹이사냥,명지천,화사,능구렁이,살모사,두꺼비, - 송장벌레,충주호,붉은배새매,조곡,한국땅거미, - 청령포,유지비각,온달산성,금굴,수리부엉이, - 백담계곡,오대산 오대천,청설모,하늘다람쥐, - 오소리,원앙이,베짱이,수종사) |
|||
다큐멘터리 자연에서 배운다, 16회(목숨을 건 경주, 아프리카의 대이동) | 19940202 | 42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2:38- 아프리카의 월더비스트 영양떼는 케냐의 마사이
- 마라 평원,탄자니아 북부 세렌게티 국립공원 - 의 광활한 초원을 이동하면서 생활한다. - 건기가 되면 탄자니아의 세렌게티로 이동한다. - 생존을 위해 이동하는 월더비스트 영양의 - 1년을 생생한 현장감으로 보여준다. |
|||
다큐멘터리 자연에서 배운다, 15회(설악산) | 19940126 | 42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2:34- 설악산은 우리나라에서 한라산,지리산
- 다음으로 높은 산이다. 웅장하면서 수려한 - 설악의 미는 어디있는지 알아보고,설악의 - 겨울에 흰눈이 쌓인 곳곳을 수놓는 새들, - 그리고 먹이를 구하는 노루,대청봉 일출, - 내설악,소청봉 일몰을 보여준다. - 백담계곡,천불동계곡,설악동의 봄을 알리는 - 우렁찬 물흐르는 소리,설악의 맑은 물은 - 세속에 찌든 인간의 마음까지도 정화시켜준다. - 설악의 생태계를 계절에 따라 살펴보고, - 신비스런 먹이사슬 관계도 알아본다. |
|||
다큐멘터리 자연에서 배운다, 14회(곤충의 사랑) | 19940119 | 42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2:40- 애벌레시절에 섭취한 영양분으로 일생을
- 살 수 있는 대부분의 성충들에게 먹이를 - 구하는 일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곤충들은 - 짧은 일생을 마감하기 전에 종족보존의 신성한 - 임무를 완수해야 하는 것이다. - 나비,사슴풍뎅이,소금쟁이,잠자리 등의 짝짓기와 - 산란모습을 보여주며 이 밖에도 빛으로 - 구애하는 반딧불이,소리로 짝을 찾는 매미 - 등 갖가지 모습의 곤충의 사랑이 종족보존이라는 - 대자연의 법칙속에서 보여진다 |
|||
다큐멘터리 자연에서 배운다, 13회(거미의 신비) | 19940112 | 41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2:51- 인간의 역사보다 50여배나 긴 3억년이란
- 세월 속에서 수없이 많은 자연에의 적응과정을 - 겪어온 거미의 신비를 벗겨본다.거미는 진화 - 계열에 따라 줄을 치고 사는 방식에 차이가 - 있으며 짝짓기와 먹이사냥에 거미줄을 사용하는 - 거미의 종류는 놀랍게도 전체거미의 절반 - 정도이다. - 1.게거미류: 게처럼 옆으로 걸으며 둔함 - 2.껑충거미: 짧고 강한 다리로 먹이사냥 - 3.닷거미류: 야행성,물위로 헤엄치며 먹이사냥 - 4.녹대거미: 거미줄로 만든 알주머니에 알을 - 낳아 넣고 꽁무니에 달고 다니며 부화될 - 때까지 정성스레 돌보고 부화되면 새끼가 - 독립생활을 할 수 있을 때까지 업어서 - 기름. |
|||
다큐멘터리 자연에서 배운다, 12회(수중의 신비) | 19940105 | 42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2:46- MBC가 10여년동안 제작,방송해서 호평을
- 받았던 자연다큐멘터리 시리즈. - 바다 깊이에 따라 달라지는 바다생물의 분포와 - 생활환경,특이한 생태를 관찰한다. 연안에서 - 가까운 바다속 자갈밭이나 암초속에서 수정하는 - 넙치의 수정란 세포분열과정을 20배 확대촬영 - 했으며,남해안에서 많이 서식하는 망상어의 - 새끼 낳는 모습 소개. - 조간대 생물인 총알고둥,따개비,맛조개 등과 - 조하대 생물인 꽃우산해파리,말미잘,산호, - 갯민숭달팽이,불가사리 등의 성장을 위한 - 먹이섭취방법은 바다의 신비로움을 더하며, - 해면,히드라,돌산호 등을 수중카메라로 촬영. |
|||
다큐멘터리 자연에서 배운다, 11회(꿀벌의 세계) | 19931229 | 41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3:10- 꿀벌의 사회는 한마리의 여왕벌과 수펄,
- 그리고 일벌로 구성되어 있다.여왕벌은 - 3-4년의 수명을 가지며 단 한번의 교미를 - 하고 일평생 백만에서 백 오십만개의 알을 - 낳는다.이 때 무정란(난자만 배출)과 - 유정란(수정란)으로 여왕벌이 조직 사정에 - 따라 선택하여 알을 낳는데,무정란은 후에 - 수펄이 되고 유정란은 여왕벌과 일벌이 된다. - 꿀벌의 세계가 가지는 경이로움은 이것 뿐만 - 이 아니다.일벌들을 8자춤을 추거나,페르몬 - 이라는 방향물을 분비하여 다른 식구들에게 - 꽃의 위치를 알리고 길을 인도하는 독특한 - 그들만의 언어가 있다.이 밖에도 꽃가루와 - 꿀을 육각형방에 저장하는 진기한 모습을 - 10배 고속촬영하여 보여주고,꿀벌의 생존을 - 위협하는 천적도 소개된다. |
프로그램 구입안내
02-789-0123- 평일:09:00~18:00
- 점심:12:00~13:00
- 토요일, 공휴일 휴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