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당 상세내용
제목/방영회 | 방영일 | 방영시간 | 상세보기 |
---|---|---|---|
다큐멘터리 자연에서 배운다, 10회(휴전선의 사계) | 19931222 | 42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3:00- <자연의 보고인 휴전선 비무장지대의 계절
- 변화에 따른 동.식물,어류등을 소개> - 1.겨울: 철원일대의 두루미,휴전선 서부의 - 쇠기러기,재두루미,쇠우리,서쪽 말도의 - 마도요,오색딱따구리,개리 - 2.봄: 철원일대의 백도,계곡의 돌단풍, - 무당개구리,비무장지대의 산양,대암산 - 고층습원의 큰영영초,동이나물,큰앵초, - 박새,사초,대암산.대호산일대의 - 미나리냉이,요강나물, 고비,관중. - 3.여름: 두타현 일대의 열목어와 각종어류, - 사미천의 노루,향노봉의 오리나라,신갈, - 아카시아,달뿌리풀등 각종 식물 - 4.가을: 서쪽 시도의 노랑부리백로,오소리, - 청설모 철원일대의 버섯 등을 소개. |
|||
다큐멘터리 자연에서 배운다, 9회(한국의 새, 물새) | 19931215 | 42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3:15- 사람이 살지 않고 자연의 모습을 그대로
- 간직한 섬의 장관과 함께 철마다 섬을 찾아 - 날아드는 물새들의 생태를 관찰한다. - "괭이 갈매기","가마우지","섬개개비", - "칼새"와 "호반새","백로","해오라비", - "외가리"등의 번식과 생태를 살펴본다. - 이외에도 군산 앞바다에서 간헐적으로 관찰 - 되나 차츰 사라져 가는 희귀물새 "검은 - 머리 물떼새(천연기념물 제326호)"와 - 초식성 물새인 "큰고니(천연기념물 제201 - 호)","저어새(천연기념물 제205호)" - 등의 진풍경이 소개된다. |
|||
다큐멘터리 자연에서 배운다, 8회(한국의 새, 산새) | 19931208 | 43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3:03- 어둠이 걷힌 숲에 새벽 안개가 피어
- 오를때 아침햇살에 눈을 뜬 산새들이 움츠린 - 숲의 어깨를 흔들어 깨운다.미풍에 실려오는 - 아련한 새들의 노래,그것은 자연이 인간에게 - 베푼 가장 아름다운 선물이다. - 4월 중순 풀잎을 스치는 바람에 아직 - 희미한 겨울의 잔영이 스며있긴 하지만 - 남해안의 외딴섬 이곳 당사도에는 벌써 - 짙은 봄내음이 가득하다. - 눈앞에 제주도를 바라다 보고있는 이곳 - 당사도는 원시림이 자연 그대로 보존되어 - 있기 때문에 많은 텃새들이 안전한 서식처를 - 이루고 있다. - 텃새인 멧비둘기,직바구리,박새,멧새,제주 - 휘파람새 등의 서식과 생태계를 살펴본다 |
|||
다큐멘터리 자연에서 배운다, 7회(동굴은 살아있다) | 19931201 | 42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3:05- 제주도 북제주군의 만장굴(천연기념물
- 제98호)을 살펴보며 용암동굴의 생성원리를 - 알아보고,그 동굴 안에서 서식하는 박쥐의 - 생태계를 관찰.강원도 삼척군의 관음굴 - (천연기념물 제178호)을 꿈의 동굴이라 - 일컬는다.이 동굴의 종유석과 화석의 역사를 - 짚어보고 석회암동굴의 생성원리를 살펴본다. |
|||
다큐멘터리 자연에서 배운다, 6회(삼다도 물속 사계절) | 19931124 | 41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3:08- 땅 위의 식물들이 여름에 무성해지는 반면
- 바다 속 해조류는 봄이 전성기인데 여름처럼 - 수온이 20도를 넘으면 잎이 없어지기 - 때문이다.이렇게 암초가 많고 해조가 무성한 - 제주의 봄 바다는 먹이가 풍부하며 은신처를 - 제공하기에 적합하여 물고기들이 가장 - 왕성하게 활동한다.물고기 중 머리가 가장 - 뛰어나단 "돌돔"과 열대,아열대의 따뜻한 - 바다에서 보여지는 바다의 영물 "바다 거북" - 등의 한가롭고 평화스러운 모습이 보여지며, - 반대로 겨울에 왕성하게 성장하나 봄이 - 되면서 작아지는 "해삼"의 재미있는 모습도 - 소개된다.등과 가슴 지느러미에 강력한 독을 - 가져 자기를 보호하는 "쏠종개",보호색을 - 띄는 "오징어",살아있을때는 독이 없으나 - 죽으면 부패되면서 독이 나와 주이 고기를 - 죽게 만드는 "거북복" 등은 바다 속에서 - 자기 방어 능력을 가진 대표적인 물고기이며, - "말미잘"의 촉수에 몸을 감추고 살아가는 - "흰동가리돔"의 공생관계 등도 제주 바다의 - 신비로움을 더해 주는 물고기이다 |
|||
다큐멘터리 자연에서 배운다, 5회(지리산의 4계) | 19931117 | 41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3:06- 지리산의 겨울은 산새들의 천국으로 박새,
- 어치,황조롱이(천연기념물 323호)등 - 우리나라 산새의 25%가 서식하고 있다. - 봄의 지리산에서는 한국 특산종 얼레지, - 지리산 특산물 지리말발돋이 등 약용, - 관상용인 야생화의 세계가 펼쳐지며,그밖에 - 장터묵과 천왕봉 일출의 장관이 볼만하다. - 또한 예로부터 불교신앙의 범산으로 유명한 - 지리산의 대찰 법계사,살상사,화엄사 등이 - 가을산의 정취와 함께 소개된다 |
|||
다큐멘터리 자연에서 배운다, 4회(한국의 야생동물) | 19931110 | 42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2:45- 눈덮인 설악산 만수대에서 발견된 희귀동물
- 산양(천연기념물 247호)과 우리나라에서는 - 유일하게 물에서 생활하는 젖먹이 동물 수달 - (천연기념물 330호)을 비롯하여 전국 - 야생동물 서식지에서 발견된 오소리,박쥐, - 고슴도치,삵괭이 등의 모습과 생명을 이어 - 가는 그들만의 질서를 보여준다.특히,해를 - 넘기면서 이루어진 겨울산 잠복끝에 멸종의 - 위기에 처한 반달곰(천연기념물 329호)이 - 발견되어 소개된다. |
|||
다큐멘터리 자연에서 배운다, 3회(한국 야생화의 사계) | 19931103 | 41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2:35- 계절의 변화와 지형적 특성에 따른
- 각양각색의 한국 야생화와 특히 한국 식물 - 연구의 중요 대상지이며 천혜의 식물보고인 - 제주 한라산과 울릉도의 희귀한 특산식물을 - 생생하게 보여준다. - 제주도에서만 자생하는 "시로미"우리나라 - 전체에 4종 뿐인 "에델바이스"천연기념물 - 19호 "문주란"과 울릉도 특산식물인 - "연령초",천연기념물 50호인 "섬잣나무, - 솔송나무 군락"위태로운 절벽끝에서 천년세월을 - 지켜온 "울릉도향나무"등이 아름다운 자연경관 - 과 함께 소개된다.또한 약초의 산지로 유명한 - 지리산의 "약용식물"과 가을에 꽃을 피우는 - "용담"등도 가을의 단풍산을 배경으로 - 소개된다 |
|||
다큐멘터리 자연에서 배운다, 2회(한국의 물고기) | 19931027 | 42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2:54- 지구상에는 만여종의 민물고기가 있고
- 우리나라에는 총 157종,남한만 143종이 - 있다.물고기는 역사 이전부터 수렵시대에는 - 식량으로,민간신앙에서는 수신과 인간을 - 연결하는 사자로,풍요와 자손의 번창을 - 가져다주는 상징으로 인간세상과 연결되어 - 졌다.지구의 역사와 함께한 작은 민물고기 - 들의 생태를 통해 생명과 자연의 소중함을 - 일깨우는 자연다큐멘터리로 초봄부터 시작되는 - 천연기념물 열목어의 산란과 희귀동.식물의 - 낙원으로 불리는 비무장지대에서 발견된 - 천연기념물 259호 어름치의 대집단이 - 보여주는 아름다운 모습 소개. - 1.5억년전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여 살아 - 있는 화석으로 불리는 칠성장어 - 2.특수렌즈로 촬영한 잉어말의 부화과정 - (칙소,산개구리,열목어,도하뱅어,금강, - 실뱀장어,황어,큰가시고기,버들개,잉어, - 수컷가시고기,암컷가시고기,납자루, - 참중고기,갈겨니,새코미꾸리,구천동계곡, - 꾹저구,한둑중개,북방종개,버들가지, - 물뱀,가물치,메기,돌마자,참종개, - 돌고기,쉬리,배가사리,누치,참마자, - 쏘가리,꺽지,모래무지,동자개,퉁가리, - 눈동자개,연준모치,금강모치,버들치, - 수수미꾸리,숭어,말뚝망둥어,줄종개, - 징거미,피라미떼,동사리,은어,무태장어, - 산천어,연어) |
|||
다큐멘터리 자연에서 배운다, 1회(천적의 세계)(첫회) | 19931020 | 42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5:26- 개미의 천적인 개미지옥,사마귀의 왕성한
- 식욕,큰 곤충의 애벌레나 알에 기생하는 - 작은 기생곤충, 거미의 사냥법,식충식물인 - 끈끈이주걱의 곤충잡는법 등 동식물들의 - 생태계를 천적관계,공생관계,자기보호법 - 등의 관점에서 관찰 |
프로그램 구입안내
02-789-0123- 평일:09:00~18:00
- 점심:12:00~13:00
- 토요일, 공휴일 휴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