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당 상세내용
제목/방영회 | 방영일 | 방영시간 | 상세보기 |
---|---|---|---|
PD수첩,689회 | 20060808 | 55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
|||
PD수첩, 689회 | 20060808 | 57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12- 하이라이트 (날로 심각해지는 병원 감염문제, 세균 감염으로 사망한 환자, 병원의 은폐속에 고통받는 환자, 병원 감염 과연 막을 수 없는 것인가) 00:58- 전CM 01:33- 탤런트 한영숙의 갑작스런 죽음 - 탤런트 한영숙 설사로 병원을 찾았다 흉복부 대동맥 박리증 발견 수술 후 세균 감염에 의해 2달만에 사망 - 박재형(남편), 한영숙 담당의사 인터뷰 07:24- 오프닝(이모현) 08:18- 심각한 주사 감염 실태 - 조미희(가명) '귀족수술' 성형수술 후 감염 피해 - 2005년 경기도 이천 주사 감염 사건 . 감기로 한 병원을 찾았던 77명의 동네 주민들 주사 감염 피해 /당시 간호조무사 인터뷰, 생리식염수 주사바늘 꽂아둔채 사용 - 질병관리본부-식약청, 책임 미루다 증거 인멸 . 이천 보건소 관계자 인터뷰 - 병원 주사기 미리 개봉 사용 악습 실태 여전 - 2005년 영등포 주사 감염 사건 - 강동구 거여동 주사 감염 사건 . 거여동 ㅇㅇ의원 원장 인터뷰, 법대로 하라 - 김창환(주사감염 후 폐혈증 피해자) 소송 사례 23:17- 한의원도 감염의 사각지대 - 맨손으로 침 사용/휴지로 피를 닦고/침대에 침을 꽂아놓고 사용 - 부항을 뜬 후 화장지로 피를 닦는 한의원들 - 부항 세척 효과 실험/카톨릭대학 미생물학 교실 - 임판순(한의원에서 부항 뜬 후 봉와직염 감염) 30:17- 중환자실의 충격적 위생 실태 - 정작 손을 씻지 않고 출입하는 의료진들 - 아예 통제조차 하지 않는 한 병원 중환자실 - 중환자실 세균 검사 결과/TNTC(수를 셀 수 없이 많음) - 맨손 진료/재사용하는 요로 카테터 - 질병관리본부, 국내 중환자실 감염률 20% - 김종휘(입원중 MRSA, 곰팡이균 감염) 사례 - 박춘심(MRSA VRE 감염 사망한 고 백성부의 아내) 병원 상대로 소송 43:57- 덴마크, 항생제 내성균 감염률 1% - HVIDOVRE 병원의 철저한 소독 실태 - 외국인,처음 온 환자 세균 보유 여부 검사 실시 - MRSA 배양 실험실/MRSA 병동 49:13- 세균 감염에 무심한 열악한 국내 의료 환경 - 구급차/병원 대기실/입원실 등 세균 다량 검출 - 분당 차병원/내성균 감염 예방에 노력 . 최태열(대한병원감염관리학회장) 인터뷰 - 신생아실 MRSA 감염 피해 아동들 54:39- 박건식 PD, MC 대담 55:34- 클로징 |
|||
PD수첩,688회 | 20060801 | 55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
|||
PD수첩, 688회 | 20060801 | 48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11- 하이라이트 (지난 5월 <치과의 위험한 비밀> 에 이어 기획특집 2부작 <병원의 위험한 비밀>을 통해 병원에서 사용하는 내시경 등 소독 실태, 병원내 감염 관리 실태를 밀착 취재) 00:53- 전CM 01:28- 5월 23일 <치과의 위험한 비밀> 방송분 04:05- 오프닝(이모현) 04:30- 방송 그 후, 치과는 어떻게 달라졌나? - 네티즌들 분노의 글 폭주/치과협회 성명서 발표/핸드피스 불티 품절 . 김재영(대한치과협회 부회장) - 치과 여전히 맨손치료, 소독 안된 핸드피스 - 의료기기 판매업자 제보자로 의심받기도 - 서울시치과의사회가 회원들에게 발송한 공문 11:25- 병원내 내시경 소독 실태 - 서울 A내과/ 고무장갑 낀 손으로 휴지 말아 닦아 - 내시경학회 1995년 내시경 소독 가이드라인 제정 - 서울 B내과/세제로 내시경관 세척 17:07- 소독하지 않은 내시경, 보이지 않는 위험 - 1991년 미국 휴스턴 내시경 조직검사 후 사망 - 생검겸자 소독액 맨손으로 세척 재사용 실태 . 데이빗 루이스 박사(미국 내시경 전문가) 인터뷰 - 내시경 판매업자 자신의 기계 들고가 검진 받았다 - 병원 직원 가족들은 아침 첫번째 검사 받는다 - 20개 병원중 내시경 소독 가이드라인 지키는 곳은 두곳뿐 - 미국 내시경 감염 피해 사례/16년전 생후 6개월 딸 내시경 감염 - 일본 후생성 97년 내시경 감염 사례 분석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소독액 사용 안해도 무방? - 취재진 내시경 균 실험/세제와 휴지로 닦은 후 잔류 녹농균 36:17- 소독 사각지대의 중소 병의원 - 산부인과 스테인레스 질경 소독 실태 - 보건소/일회용 질경 - 성형외과 수술 기기 소독 실태 - 병원 소독시설 관리 감독 전무 . 임종규(보건복지부 의료정책팀장)/서울시 보건정책 관계자 /보건소 관계자 인터뷰 45:44- 박상환 PD, MC 대담 47:30- 클로징 47:56- 다음주 예고 |
|||
PD수첩, 687회 (전체 사용금지: 사용시 담당PD 및 법무저작권부 협의요) | 20060725 | 51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12- 하이라이트 (소말리아 해적들에게 납치된 동원호, 한국인 8명 등 외국인 17명 총 25명의 동원호 선원들이 정부의 무관심속에 100일째 공포에 떨며 귀국만을 기다리고 있는 동원호를 한 여성 프리랜서가 단독 취재) 00:54- 전CM 02:28- 소말리아 해적에 피랍된 동원호 선원들을 찾아 - 4월 21일 APTN 피랍 동원호 취재 화면 - 5월 소말리아 TV에 방송된 피랍 동원호 선원들 - 해적들과 접촉 하라데라 해안에 피랍된 동원호에 승선 08:13- 오프닝(이모현) 08:56- 김영미 PD(분쟁지역 전문 프리랜서), MC 대담 . 김영미 PD(피랍 동원호 취재) 스튜디오 출연 대담 10:26- 동원호 선원들의 절박한 생존의 나날 - 기관포 등 해적들의 무기가 장착돼 있는 동원호 - 취재진 덕분에 억류생활 처음 먹어 본다는 참치회 - 해적들 선실 등 장악 식량 의류들 모두 바닥 . 최성식(선장)/김진국(항해사)/전종원(통신장) 인터뷰 - 미 해군 구출작전때 인간방패로 세워져/황상기(기관장) 인터뷰 20:04- 해적, "동원호가 허가 없이 불법조업을 했기 때문에 피랍했다" - 선원들 피랍 당시 상황 증언/일제 총격 후 습격 . 동원호가 소지한 소말리아 과도정부가 발행한 조업 허가증 - 해적 두목 인터뷰 23:46- 소말리아 해안, 해적들의 무법천지 (15년간 계속돼온 내전으로 소말리아 정국은 치안 부재, 동원호가 납치된 지역은 과도정부의 힘이 미치지 않는 해적들의 무법천지) - 납치한 선박 건수를 자랑하는 해적 두목 27:51- 정부와 회사만 믿고 애타게 기다리고 있는 선원 가족들 - 고국에 있는 가족들 걱정에 애가 타는 선원들 - 황상기 기관장 가족들/막내 피랍 소식 노모에 알리지도 못해 - 위신환 갑판장의 어머니 35:22- 답답하기만한 협상 과정 (마을에 3대 뿐인 유선전화와 팩스로 문서 오가는데만 2주일, 정부의 무관심속에 회사와 해적들과의 전화 협상 매번 결렬) - 선원들 ,"우리 정부는 뭐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 기자회견 장면/영사과 관계자 전화 인터뷰 - 힘 없는 과도정부에만 전화 접촉 . 소말리아 라디오 방송/알리 무사(AFP 동아프리카 담당기자) 인터뷰 - 이슬람 반군, 하라데라 제외한 전지역 장악 . 세이크 하산 다르(이슬람 법정연대 최고사령관) 인터뷰 46:28- 취재진 사흘간의 동원호 체류 마지막 날 48:57- 클로징 |
|||
PD수첩 | 20060718 | 55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
|||
PD수첩, 686회 | 20060718 | 56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12- 하이라이트 00:58- 전CM 01:46- 오프닝(이모현) 02:57- 정부, - 7월 4일 - 정부 한겨레신문 전면광고 통해 - NAFTA 전후 멕시코 지니 계수(불평등지수) . 카를로스 우스캉카(멕시코 국립자치대학교 교수) 인터뷰 - NAFTA 전후 캐나다 지니 계수 . 브루스 켐벨(캐나다 정책연구소) 인터뷰 - NAFTA 11장 투자 조항 경고 . 멕시코 정부가 미국 메탈클래드사에 지불한 수표/론스타 로비 문건 - 조작된 한미 FTA 홍보 내용 . 국정홍보처 홈페이지 게제된 연대생들의 좌담회 내용 조작 /김명년(연세대학교 경제학과 3학년) 인터뷰/국정홍보처 사과문 /유종일(한국개발연구원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인터뷰 15:42- 미국에 공짜로 내준 4대 선결조건, 협상의 발목을 잡다 - 한미 FTA 2차 협상 파행과 의약품 협상 . 웬디커틀러(한미FTA협상 미국 수석대표) 기자회견 /보건복지부 포지티브 약가 정책/남희섭 변리사 인터뷰 - 미 상원에서 부시에게 보낸 서한/미 의회 조사보고서 - 김현종(외교통상본부 통상교섭본부장) "약속 안했다" . 강기갑(민주노동당 의원)/전만복(보건복지부 FTA담당) 인터뷰 23:46- 4대 선결조건은 어떻게 시민의 삶을 악화시키는가? - 광우병 파동 미국산 쇠고기 수입 재개 . 미 시민단체 농무성 광우병 기준 위반 기록/박현출(농림부) 인터뷰 - 미국, 곡물 과일 위생검역 완화 요구 - 미 자동차 회사의 요구대로 배출가스 허용기준 완화 - 스크린쿼터 축소 . 제19차 한미재계회의 환영리셉션/한덕수 부총리 연설 36:22- 미국 역대 FTA 협상 전략과 우리의 방안 - 2003년 미-칠레 FTA 반덤핑관세 선례 - 섬유 얀포워드(Yarn Forward) 규정 - 캐나다 미국간 목재 분쟁 - 지적재산권 저작권자 사후 70년 보장/미키마우스법 - 의약품 특허권 20년 + 알파 요구 . 심상정(민주노동당 국회의원)/이해영(한신대 교수) 인터뷰 - 일본이 미국과 FTA 안하는 이유 . 후쿠가와 유키코(도쿄대 경제학 교수) 인터뷰 46:13- 우리 정부는 왜 FTA 협상을 고집하나? - 무역 증대, 일자리 창출, 양극화 해소? . 노무현대통령 신년연설/정인교(인하대 교수)/이해영(한신대 교수) /유종일(한국개발연구원 교수) - 서비스산업 선진화, 경제성장 동력? . 노무현대통령 신년연설/장하준(캠브리지대학 경제학부 교수) /조순(전 경제부총리) 인터뷰 - 경제학자 175명 한미FTA 반대성명 발표 - 국회의원도 잘 모르는 한미 FTA . 이혜훈,박종근(한나라당 의원)/송영길(열린우리당 의원) 인터뷰 53:33- 김재영 PD, MC 대담 54:49- 클로징 |
|||
PD수첩, 685회 | 20060711 | 49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12- 하이라이트 01:34- 20대 남성 트렌스젠더의 태국 원정 성전환수술 - 방콕 얀희병원 06:10- 오프닝(최승호) 07:00- 엄마가 된 아빠, 45세 기혼 성전환자 가정 (대기업 사원이자 고교생 아들을 둔 45세 가장, 부인과 이혼 후 1월 여성으로 성전환수술) - 여성이 되려는 아들에게 호적정정 승인 도장을 찍어주는 아버지 - 아빠에서 엄마로 . 장경순(45세, 2006년 1월 여성으로 성전환수술) 인터뷰 - 대기업에서 사표 낸 후 카페 종업원으로 12:10- 2006년 6월 22일 대법원 성전환자 호적 정정 허가 판결 논란 - 이용훈 대법원장 판결 장면 - 찬.반 논란 . 박영률 목사(국가발전기독연구원장)/민경식(대한변호사협회)인터뷰 - 6월 27일 성전환자 공동연대 기자회견 - 대법원이 요구하는 성별 정정 기준 14:52- 홍유정씨 사례 20:15- 여에서 남으로 1차 성전환수술 장면 (2년간 호르몬 주사를 맞아 오다 1차 유방 제거 성전환수술) 23:26- 여에서 남으로 성전환수술 준비자 - 돈이 없어 수술도 못해 6년째 집에서 호르몬 주사 . 김종석(가명, 여에서 남으로 수술 준비중)/한무지(트렌스젠더 인권연대 대표) 인터뷰 - 트렌스젠더 정상적 취업 불가능 - 여에서 남으로 성전환수술 과정과 위험성 . 한동균(성형외과 전문의) 인터뷰 28:17- 성전환수술을 위해 해외로 나가는 트렌스젠더들 - 22세 트렌스젠더 영은양의 태국 원정 성전환수술 . 김정백(얀희병원 국메마케팅부 매니저)주타(담당의) 인터뷰 - 트렌스젠더의 천국 태국 - 일본, 2차 수술만으로도 호적 정정 가능 . 구로가와(26세, 2차 성전환수술 환자) 인터뷰, 생식기능 제거 2차 수술만으로도 호적 정정 37:23- 제도와 관행 여전히 냉담한 현실 - 트렌스젠더 하리수 2002년 호적정정 - 호적 정정을 한 트랜스젠더의 호적등본 . 김인애(가명, 트렌스젠더 분석가, 3년전 호적정정) 인터뷰 - 법원의 판례들 . 이태화 변호사(대법원 판결 원고 변호)/이효린(가명, 호적정정 3심 재판 계류중) 인터뷰 - 트렌스젠더 장경순(가명)의 호적정정 절차 . 변현철(대법원 공보관) 인터뷰 47:04- 장형원,김현기 PD, MC 대담 48:23- 클로징 |
|||
PD수첩, 684회 | 20060704 | 64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00- 타이틀
00:00:12- 하이라이트 (참여정부의 한미 FTA 과정에서 드러난 난맥상과 향후 한국에 미칠 충격파를 멕시코 캐나다의 사례를 통해 진단해 본다) 00:01:37- 장밋빛 미래를 홍보하는 참여정부, 론스타 한미 FTA 을 위해 로비 - 한미 FTA 홍보에 열을 올리는 정부 - 론스타 외환은행 매각 세금 추징 피하기 위해 FTA 전방위 로비 . 정태인(전 청와대 국민경제비서관) 인터뷰 - 강제퇴출된 472명의 외환은행 직원들/김한수 퇴직자 인터뷰 00:05:33- 오프닝(최승호) 00:06:32- NFTA 그 후, 멕시코 - 한미 FTA 국정홍보처 광고/NAFTA 멕시코 정부 광고 - 나프타 이후 멕시코 수출 및 투자현황 - 멕시코시티 거리의 아이들 2만여명/카사 알리안샤 보호소 - 멕시코시티 노점상 거리/농촌에서 올라온 노점상 6만여명 . 농촌에 아이들을 둔채로 10년째 노점상해온 에리카 자매 인터뷰 - NAFTA 이후 멕시코 농촌 붕괴 . 멕시코인의 주식 또르띠야 가격 7배 급등 - 마킬라도라(수출자유산업지대)/노동자 숙소 . 수출은 4배로 늘었지만 근로자 임금은 1% 인상/비정규직이 70% - 멕시코시티 중소기업단지/만500여개 중소기업 도산 - 외국투자자본 멕시코 은행 90% 장악, 기업 투자 외면 - 공공서비스 부문 민영화로 공공요금 급등 00:21:34- NFTA 그 후, 캐나다 - 밴쿠버/3년새 노숙자 비정규직 두배로 증가 . 브루스 캠벨(캐나다 정책연구소) 인터뷰, NAFAT로 특정그룹만 이득 - 오타와 중산층 가정/실제 수입 감소 - 캐나다 칼튼 대학/등록금 200% 인상 - 기업의 세수 감소로 복지예산 10% 삭감 00:27:06- FTA 독소조항 사례 - 1998년 미국 에틸사 캐나다 정부 상대로 손배소 승소 - 미국 UPS, 캐나다 우체국 제소 - 미국,캐나다 목재 무역 분쟁 - 멕시코 꽈달꽈사르 마을/미국 메탈클래드사 산업 폐기물 매립장 분쟁 - NAFTA보다 한층 강화된 FTA 투자자 조항 . 김성훈(전 농림부 장관) 인터뷰 - 호주, 2004년 미국과 FTA 협상서 투자자 제소권 제외 - 2006년 6월 한미 FTA 1차 협상/투자자 제소권 그대로 인정 . 김성진(재정경제부 차관보)/스티븐 슈리브먼(변호사) /이동호(국제변호사) - 론스타의 한미 FTA 로비 목적 00:42:20- 정부의 한미 FTA 추진 과정 - 갑작스런 한미 FTA 협상 추진 배경/4대 선결 조건 . 미 상원에서 부시에게 보낸 서한/2005년 9월 FTA 관련 외교통상부자료 - 스크린쿼터 축소/2006년 3월 27일 국무회의 의결 . 최민식,안성기(영화배우) 인터뷰 - 미국산 쇠고기 수입 재개/송기호(변호사) 인터뷰 - 무역수지가 빠진 한미 FTA 경제적 효과 보고서 . 이해영(한신대 국제관계학 교수)/권영길 의원(민주노동당) /채욱(대외경제정책연구원 FTA 연구단장)/이혜훈 의원(한나라당) /정인교 교수(인하대) - 의약품의 지적재산권 강화로 미국 이익 극대화 - 한미 FTA 공청회는 법적 요식행위 - 미국 정부의 협상 절차 - 한미 FTA에 무관심한 국회 - 한미 FTA 전문가 자문단 발족식/협상단 전문성 결여 01:01:16- 이모현,김재영 PD, MC 대담 01:02:45- 클로징 |
|||
PD수첩, 683회 | 20060627 | 41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1:38- 2006년 6월 서해 연평도/중국어선 불법 꽃게잡이 단속 현장 05:43- 오프닝(최승호) 06:27- 공포의 6월, 빚에 허덕이는 어민들 - 꽃게 대신 쓰레기만 건진 400 미터 짜리 그물 - 물 반 꽃게 반이었던 2002년 연평도 조업 장면 - 2003년 5월부터 중국어선 수백척씩 불법조업/야간 조업장면 - 중국 어선들 저인망 그물로 어족 싹쓸이 . 해경, 중국어선 나포 장면 - 빚 때문에 가업류된 어선들/어민들 집까지 가압류 - 1년 앞서 재앙 당한 대청도 . 조순권(대청도 꽃게잡이 어선 선장) 인터뷰, 출어 대신 공공근로 요금 밀려 전화도 끊겨/어민들 떠난 빈집들. 90%가 신용불량자 - 2003년 10월 30일 연평도 어민 해상시위 장면 - 2005년 어민들 조업구역 단속에 항의 해군기지 습격 . 정대철 선장(대청도)/이관수 어민 인터뷰 19:16- 연평어장 황폐화 - 2066년 6월 18일 연평도 북서쪽 해안 수중촬영 . 뻘에 덮힌 암반 바지락 집단폐사 - 최종기 교수(인하대 해양학과) 인터뷰 23:32- 은밀한 거래, 누가 무엇을 얻나? - 6월 4일 해경 중국어선 4척 나포/대부분 동항에서 출발 . 중국 선원 인터뷰, 대규모 중국선단 북한에 돈주고 조업권 사 - 중국 동항/변경 무역선이 북한에서 싣고 온 꽃게 . 해상 무역선 통역원 인터뷰, 한국 서해서 잡은 꽃게 한국으로 다시 수출 - 북한에 돈 주고 어업권 사 꽃게잡이 . 꽃게 거상 인터뷰/북한 해상 조업 허가 확인서/중국어민 인터뷰 북한 몰래 불법조업하는 중국어선 상당수 31:29- 중국어선 불법조업, 안 막나? 못 막나? - 김만수 대령(해군본부 정훈 공보처장) 인터뷰 - 2006년 5월 24일 연평도 어민 시위 현장 - 해군-해경 책임 떠넘기기/북한과의 충돌 우려 . 이병일 경정(해양경찰 경비통신 과장) 인터뷰 - 남북 공동어로구역 지정 무산/3월 3일 남북 장성급 회담 - 어민들 이자 탕감 어선 감척 보상 요구 . 박재복(연평도 어민) 인터뷰, 감척 보상 3억원 요구 /김이운 과장(해양수산부 어업정책과)/정영훈 과장 인터뷰 - 2005년 5월 3일 해양수산부 연평도 어민 간담회 장면 . 최율(연평도 어민) 인터뷰 38:26- 강지웅 PD, MC 대담 39:16- 클로징/태고종단 황룡사 주지 제적 |
프로그램 구입안내
02-789-0123- 평일:09:00~18:00
- 점심:12:00~13:00
- 토요일, 공휴일 휴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