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당 상세내용
제목/방영회 | 방영일 | 방영시간 | 상세보기 |
---|---|---|---|
MBC 스페셜 | 20021222 | 64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끝나지 않는 비극-탈북자> 내용
중국은 북한과의 협약에 의해 북한주민을 무조건 북송시키고 있다. 탈북자들이 뛰어들었던 대사관 주변은 철조망에 둘러싸여 있고, 중국 공안은 탈북자 검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북송을 피하려 사람이 사는 마을을 벗어나 산속 움막에서 살아가는 탈북자들의 비참한 삶을 인터뷰로 들어본다. 한편 국제NGO들은 탈북자를 돕기 위해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상원에서도 탈북자 북송 중단 결의안을 채택하고 중국에 압력을 가하고 있으며, 몽골에 난민촌을 건설하여 중국의 위신을] 세워주는 문제도 고려하고 있다. 00:00:00- 타이틀 00:00:17- 프롤로그 - 지난 방송이후 탈북자 문제 상황변화를 중국.몽골.미국현지 취재하고 첨예하게 떠오른 올 한해의 탈북자 문제 정리 00:06:57- 중국 북경, 삼엄해진 거리 검문 검색 00:07:17- 철조망으로 겹겹이 둘러싸인 대사관 밀집지역 00:07:37- 탈북자들 인터뷰 00:09:31- 12.15 북경역, 탈북청년동지회 탈북자와 접선 시도, 실패 00:10:24- 12.16 선교 단체 도우미, 탈북자 이정화.전남혁 접선 성공 00:12:30- 삼엄한 북한 주민 검거상황 - 국경 주변마을, 한층 강화된 검문검색, 탈북자들 검거로 곳곳에 방치된 빈집들 - 도문다리(중국과 북한 연결하는 다리) - 중국국경관리소, 도문다리 건너는 북송 차량 - 연변지역 탈북자 구치소 00:15:02- 산속 움막에서 숨어지내는 탈북자 00:19:17- 탈북자 이정화.전남혁 00:24:30- 탈북여성 인권유린 00:30:39- 말레이시아 대사관 사전 답사 00:32:10- 탈북자들의 대사관 진입사건 - 2002.5.8 주선양 일본 총영사관 집입 - 2002.6.13 중국 주재 한국 총영사관 진입 - 2002.9.2 에콰도르 대사관 진입 00:33:20- 대사관진입 전날 이정화, 전남혁 00:38:30- 2002.8.26 중국 외교부 진입 - 탈북자 작성한 난민보호신청서 - 2002.3.15 주중 스페인 대사관 진입 - 탈북청년동지회원 인터뷰 00:41:59- 2002.3.15 주중 스페인 대사관 진입 - 가토 히로시(북조선난민구호기금 사무총장) 인터뷰 - 폴로첸(독일인 의사) 인터뷰 00:43:35- 탈북자들을 위한 국제NGO들의 활동 00:45:19- 2002.12.17. 대사관 진입 당일 - 탈북자 이정화.전남혁 말레이시아 대사관 진입실패 - 독일학교 재진입 성공 00:51:29- 미국 주재 중국대사관앞 - 탈북자 북송 중단과 난민지위 인정 요구 시위 00:53:19- 수전 솔티(미국 방위포럼재단 회장) 인터뷰 00:54:00- 2002.11.27 가토 히로시 기자회견 00:55:47- 미국 상원, 탈북자 북송 중단 결의안 채택 00:56:33-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 탈북자 난민촌 건설 추진 00:59:52- 에필로그 - 국가간의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와중에 한국의 역할은 무엇인가? |
|||
MBC 스페셜 | 20021222 | 64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끝나지 않는 비극-탈북자> 내용
중국은 북한과의 협약에 의해 북한주민을 무조건 북송시키고 있다. 탈북자들이 뛰어들었던 대사관 주변은 철조망에 둘러싸여 있고, 중국 공안은 탈북자 검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북송을 피하려 사람이 사는 마을을 벗어나 산속 움막에서 살아가는 탈북자들의 비참한 삶을 인터뷰로 들어본다. 한편 국제NGO들은 탈북자를 돕기 위해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상원에서도 탈북자 북송 중단 결의안을 채택하고 중국에 압력을 가하고 있으며, 몽골에 난민촌을 건설하여 중국의 위신을] 세워주는 문제도 고려하고 있다. 00:00:00- 타이틀 00:00:17- 프롤로그 - 지난 방송이후 탈북자 문제 상황변화를 중국.몽골.미국현지 취재하고 첨예하게 떠오른 올 한해의 탈북자 문제 정리 00:06:57- 중국 북경, 삼엄해진 거리 검문 검색 00:07:17- 철조망으로 겹겹이 둘러싸인 대사관 밀집지역 00:07:37- 탈북자들 인터뷰 00:09:31- 12.15 북경역, 탈북청년동지회 탈북자와 접선 시도, 실패 00:10:24- 12.16 선교 단체 도우미, 탈북자 이정화.전남혁 접선 성공 00:12:30- 삼엄한 북한 주민 검거상황 - 국경 주변마을, 한층 강화된 검문검색, 탈북자들 검거로 곳곳에 방치된 빈집들 - 도문다리(중국과 북한 연결하는 다리) - 중국국경관리소, 도문다리 건너는 북송 차량 - 연변지역 탈북자 구치소 00:15:02- 산속 움막에서 숨어지내는 탈북자 00:19:17- 탈북자 이정화.전남혁 00:24:30- 탈북여성 인권유린 00:30:39- 말레이시아 대사관 사전 답사 00:32:10- 탈북자들의 대사관 진입사건 - 2002.5.8 주선양 일본 총영사관 집입 - 2002.6.13 중국 주재 한국 총영사관 진입 - 2002.9.2 에콰도르 대사관 진입 00:33:20- 대사관진입 전날 이정화, 전남혁 00:38:30- 2002.8.26 중국 외교부 진입 - 탈북자 작성한 난민보호신청서 - 2002.3.15 주중 스페인 대사관 진입 - 탈북청년동지회원 인터뷰 00:41:59- 2002.3.15 주중 스페인 대사관 진입 - 가토 히로시(북조선난민구호기금 사무총장) 인터뷰 - 폴로첸(독일인 의사) 인터뷰 00:43:35- 탈북자들을 위한 국제NGO들의 활동 00:45:19- 2002.12.17. 대사관 진입 당일 - 탈북자 이정화.전남혁 말레이시아 대사관 진입실패 - 독일학교 재진입 성공 00:51:29- 미국 주재 중국대사관앞 - 탈북자 북송 중단과 난민지위 인정 요구 시위 00:53:19- 수전 솔티(미국 방위포럼재단 회장) 인터뷰 00:54:00- 2002.11.27 가토 히로시 기자회견 00:55:47- 미국 상원, 탈북자 북송 중단 결의안 채택 00:56:33- 몽골 수도 울란바토르, 탈북자 난민촌 건설 추진 00:59:52- 에필로그 - 국가간의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와중에 한국의 역할은 무엇인가? |
|||
MBC 스페셜 | 20021117 | 57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미국, 10부-햄버거 제국> 내용
미국인들에게 언제나 즐거움과 유쾌함으로 기억되는 햄버거의 어제와 오늘을 돌아본다. 햄버거의 발상지인 시모어에서 햄버거가 탄생하게 된 계기부터 오늘날 미국문화의 상징이자, 세계화의 첨병으로 대두되기까지 햄버거의 역사를 재조명해 보았다. 현재 최대업체인 맥도널드의 성공 요인을 알아보고, 그에 비례해 점점 격렬해지는 맥도널드 반대자들의 의견도 들어본다. 00:00- 타이틀 00:24- 프롤로그 01:57- 전CM 06:01- 인기 최고의 햄버거 회사 - 타미 햄버거 - 업계 선두의 맥도날드 10:45- 햄버거문화와 역사 17:26- 햄버거 제국 '맥도날드'의 과거와 현재 - 맥도날드의 설립 - 프랜차이즈와 성공 비법 - 레이 크락의 경영철학 - 맥도날드에 대한 공격 - 전세계로 질주하는 맥도날드 - 세계화 반대 시위 48:24- 에필로그 54:36- 후CM |
|||
MBC 스페셜 | 20021117 | 57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미국, 10부-햄버거 제국> 내용
미국인들에게 언제나 즐거움과 유쾌함으로 기억되는 햄버거의 어제와 오늘을 돌아본다. 햄버거의 발상지인 시모어에서 햄버거가 탄생하게 된 계기부터 오늘날 미국문화의 상징이자, 세계화의 첨병으로 대두되기까지 햄버거의 역사를 재조명해 보았다. 현재 최대업체인 맥도널드의 성공 요인을 알아보고, 그에 비례해 점점 격렬해지는 맥도널드 반대자들의 의견도 들어본다. 00:00- 타이틀 00:24- 프롤로그 01:57- 전CM 06:01- 인기 최고의 햄버거 회사 - 타미 햄버거 - 업계 선두의 맥도날드 10:45- 햄버거문화와 역사 17:26- 햄버거 제국 '맥도날드'의 과거와 현재 - 맥도날드의 설립 - 프랜차이즈와 성공 비법 - 레이 크락의 경영철학 - 맥도날드에 대한 공격 - 전세계로 질주하는 맥도날드 - 세계화 반대 시위 48:24- 에필로그 54:36- 후CM |
|||
MBC 스페셜 | 20021110 | 50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미국, 9부-자유의 초석 수정헌법1조, 2편> 내용
9.11 이후 테러와의 전쟁에 돌입한 미국은 '미 애국자법'을 제정한다. 개인 사생활에 대한 도청, 감시를 허용한 이법은 그동안 미국이 최고의 가치로 여겨오던 자유를 억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수정헌법 1조에 근거한 표현의 자유는 정부의 국가안보라는 미명하에 무시됐다. 실제로 미 정부는 MS의 협조를 받아 아랍계 이름을 가진 이들의 이메일을 감시하고 있을 정도이다. 또한 81년 백인경찰관 살해죄로 사형수가 된 흑인 무미아 아부자말의 예로 들어 수정헌법이 인종의 벽도 넘지 못함을 보여준다. 00:00- 타이틀 00:58- 전CM 04:31- 9.11 이후 불이익 당하는 아랍계 외국인 08:49- '미 애국자법'의 논란 13:51- 정부와 언론과의 싸움 - 검열당한 뉴욕타임즈의 '베트남전 기사' - 워싱턴 포스트의 '국방부 보고서' 보도 - 언론의 손 들어준 법원의 판결 26:17- 수정헌법 1조와 표현의 자유 30:35- 사상의 자유를 억압당한 무미아 아부자말 - 사형선고와 재판 과정의 의문점 - 인종의 벽에 막힌 수정헌법 1조 44:11- 에필로그 47:36- 후CM |
|||
MBC 스페셜 | 20021110 | 50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미국, 9부-자유의 초석 수정헌법1조, 2편> 내용
9.11 이후 테러와의 전쟁에 돌입한 미국은 '미 애국자법'을 제정한다. 개인 사생활에 대한 도청, 감시를 허용한 이법은 그동안 미국이 최고의 가치로 여겨오던 자유를 억압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수정헌법 1조에 근거한 표현의 자유는 정부의 국가안보라는 미명하에 무시됐다. 실제로 미 정부는 MS의 협조를 받아 아랍계 이름을 가진 이들의 이메일을 감시하고 있을 정도이다. 또한 81년 백인경찰관 살해죄로 사형수가 된 흑인 무미아 아부자말의 예로 들어 수정헌법이 인종의 벽도 넘지 못함을 보여준다. 00:00- 타이틀 00:58- 전CM 04:31- 9.11 이후 불이익 당하는 아랍계 외국인 08:49- '미 애국자법'의 논란 13:51- 정부와 언론과의 싸움 - 검열당한 뉴욕타임즈의 '베트남전 기사' - 워싱턴 포스트의 '국방부 보고서' 보도 - 언론의 손 들어준 법원의 판결 26:17- 수정헌법 1조와 표현의 자유 30:35- 사상의 자유를 억압당한 무미아 아부자말 - 사형선고와 재판 과정의 의문점 - 인종의 벽에 막힌 수정헌법 1조 44:11- 에필로그 47:36- 후CM |
|||
MBC 스페셜 | 20021103 | 50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미국, 9부- 자유의 초석 수정헌법1조, 1편> 내용
비난과 찬사를 동시에 받는 래리 플린트, 그가 자신의 포르노 잡지 '허슬러' 를 통해 과도할 정도의 자유를 충분히 누리는 것은 모두 수정헌법 덕분이다. 출판, 집회 결사의 자유를 최대가치로 여기는 수정헌법 1조의 내용은 비판의 자유를 보장함으로써 미국을 특별한 나라로 만들기도 했다. 그러나 이는 악마숭배, KKK단, 네오나치 등 미국사회의 심각한 갈등을 야기하는 요인이기도 하다. 심지어 성조기를 소각하는 사건까지 발생했지만 대법원은 무죄판결을 내렸다. 이에 항의하는 의원들이 성조기 보호법을 만들었지만, 오히려 이 법은 연방법원의 위헌판결을 받는다. 00:00- 타이틀 00:28- 프롤로그 02:03- 전CM 05:37- 미국 신문,잡지의 자유 - 영화 <래리 플린트>,포르노 잡지 '허슬러' . 래리 플린트(허슬러 회장) 인터뷰, . 허슬러 카지노 . 1975.8 재클린 케네디 알몸 공개, 1973.10 허슬러 창간호 - 제리 폴웰의 허슬러에 실린 캄파리 술 광고 . 1984 버지니아 법정 . 1987 연방대법원 판결: 공인의 감정적인 고통에 대해 책임 질 필요는 없다 . 1998 래리플린트 무죄 19:43- 수정헌법1조(1971) 내용 - 키트 게이지(수정헌법1조재단 대표) 인터뷰 21:55- 표현의 자유가 갈등을 일으키는 사례 - 미국 네오나치(NSPA) 집회, 프랭크 콜린 지도자 - 네오나치의 스코키마을 집회 논란 . 1997년 일리노이 지방법원 집회 금지 . 1998년 최종 집회 허가 판결 . 엘리자베스 슈츠(유태인 학살 생존자) 인터뷰 - 스코키 홀로코스트재단, 기념 박물관 35:28- 공산당원에 대한 대법원의 판결 - 찰리 채플린 <모던 타임즈> 공산주의자 혐의 . 1952.9 할리우드 떠나 런던으로 돌아감 . 1953.1 미국 극장들<라임 라이트> 상영취소 - 공산당 간부들 법정 출두 40:19- 성조기 소각에 대한 연방 대법원 판결 - 그레고리 존슨, 성조기 소각 현장에서 체포 . 연방대법원 무죄 판결 - 1989.10 '성조기 보호법' 의회 통과 - 1990.6 대법원 '성조기 보호법' 위헌 판결 45:15- 자유의 초석,수정헌법1조, 2부 예고 47:36- 후CM |
|||
MBC 스페셜 | 20021103 | 50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미국, 9부- 자유의 초석 수정헌법1조, 1편> 내용
비난과 찬사를 동시에 받는 래리 플린트, 그가 자신의 포르노 잡지 '허슬러' 를 통해 과도할 정도의 자유를 충분히 누리는 것은 모두 수정헌법 덕분이다. 출판, 집회 결사의 자유를 최대가치로 여기는 수정헌법 1조의 내용은 비판의 자유를 보장함으로써 미국을 특별한 나라로 만들기도 했다. 그러나 이는 악마숭배, KKK단, 네오나치 등 미국사회의 심각한 갈등을 야기하는 요인이기도 하다. 심지어 성조기를 소각하는 사건까지 발생했지만 대법원은 무죄판결을 내렸다. 이에 항의하는 의원들이 성조기 보호법을 만들었지만, 오히려 이 법은 연방법원의 위헌판결을 받는다. 00:00- 타이틀 00:28- 프롤로그 02:03- 전CM 05:37- 미국 신문,잡지의 자유 - 영화 <래리 플린트>,포르노 잡지 '허슬러' . 래리 플린트(허슬러 회장) 인터뷰, . 허슬러 카지노 . 1975.8 재클린 케네디 알몸 공개, 1973.10 허슬러 창간호 - 제리 폴웰의 허슬러에 실린 캄파리 술 광고 . 1984 버지니아 법정 . 1987 연방대법원 판결: 공인의 감정적인 고통에 대해 책임 질 필요는 없다 . 1998 래리플린트 무죄 19:43- 수정헌법1조(1971) 내용 - 키트 게이지(수정헌법1조재단 대표) 인터뷰 21:55- 표현의 자유가 갈등을 일으키는 사례 - 미국 네오나치(NSPA) 집회, 프랭크 콜린 지도자 - 네오나치의 스코키마을 집회 논란 . 1997년 일리노이 지방법원 집회 금지 . 1998년 최종 집회 허가 판결 . 엘리자베스 슈츠(유태인 학살 생존자) 인터뷰 - 스코키 홀로코스트재단, 기념 박물관 35:28- 공산당원에 대한 대법원의 판결 - 찰리 채플린 <모던 타임즈> 공산주의자 혐의 . 1952.9 할리우드 떠나 런던으로 돌아감 . 1953.1 미국 극장들<라임 라이트> 상영취소 - 공산당 간부들 법정 출두 40:19- 성조기 소각에 대한 연방 대법원 판결 - 그레고리 존슨, 성조기 소각 현장에서 체포 . 연방대법원 무죄 판결 - 1989.10 '성조기 보호법' 의회 통과 - 1990.6 대법원 '성조기 보호법' 위헌 판결 45:15- 자유의 초석,수정헌법1조, 2부 예고 47:36- 후CM |
|||
MBC 스페셜 | 20021027 | 54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미국, 8부-은막위의 전쟁, 헐리우드와 펜타곤> 내용
방사능 테러에 관한 영화 <썸 오브 올 피어스> 개봉시기에 맞춰 실제 알카에다 테러범이 검거됐다. 문제는 정부가 한 달 전부터 이미 범인을 주시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런 기막힌 우연은 부시가 러시아에서 평화협정을 맺음으로써 다시 한 번 재연되었다. 백악관과 할리우드가 모종의 목적을 가지고 비밀회합을 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받지만, 당사자들은 극구 부인한다. 그러나 전쟁이 영화를 부추기고 영화가 또 전쟁을 긍정적으로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국민들을 선동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할리웃 영화 역사를 돌아본다. 00:00- 타이틀 00:26- 프롤로그 - 9.11 테러 직후 마련된 할리우드와 워싱턴간의 비밀 회합! 2차 대전부터 현재의 '테러와의 전쟁'까지 지난 반세기동안 지속되어온 할리우드와 워싱턴간의 협력관계에 대해 알아봄 01:12- 전CM 04:45- 방사능 테러범 검거 사건과 <섬 오브 올 피어스>의 개봉 - 짐 호버만(미 빌리지보이스지 영화평론가) 인터뷰 - 메이스 뉴펠드(섬 오브 올 피어스 제작자) 인터뷰 - 방사능 테러범 사전 검거 6.10 국방차관 발표 - 5.31 영화 <섬 오브 올 피어스> 개봉 - 짐 호버만(미 빌리지보이스지 영화평론가)인터뷰 - 메이스 뉴펠드(섬 오브 올 피어스 제작자) 인터뷰 08:09- 백악관과 할리우드의 비밀회합의 의혹 - 브라이스 자벨(미 TV 아카데미학회장) 인터뷰 - 2001.11.11 할리우드.백악관 공개 기자회견 . 칼 로브(정치 수석 보좌관), 셰리 랜싱(파라마운트사 부회장) 10:51- 헐리우드 전쟁 영화 개봉 붐 - 2.26 영화 <위 워 솔저스> 백악관 시사회 - 펜타곤 지원을 받은 영화 <블랙호크다운> 제작 현장 14:17- 헐리우드와 펜타곤의 합작 영화 - 잭 워너(워너브라더스 사장) 훈상 수상 - 펜타곤(미 국방성), 필립 스트룹(펜타곤 할리우드 담당관) 인터뷰 - 조지타운대학교에 보관된 국방성 문서파일 - 1943년 다큐멘터리 영화 <우리는 왜 싸우는가> . 진주만 공격 - 1942년 영화 <웨이크 아일랜드>, 1943년<과달카날 다이어리>,<바탄> - 1994년 영화 <긴급명령> - 2002년 영화 <윈드토커> - 1968년 영화 <그린 베레> - 1986년 영화 <탑건> 46:21- 해군 장교 후보생 학교 48:18- 4.25 영화 <룰스 오브 인게이지먼트> 항의 시위 51:41- 9편 자유의 보루(수정헌법1조)예고 52:14- 후CM |
|||
MBC 스페셜 | 20021027 | 54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미국, 8부-은막위의 전쟁, 헐리우드와 펜타곤> 내용
방사능 테러에 관한 영화 <썸 오브 올 피어스> 개봉시기에 맞춰 실제 알카에다 테러범이 검거됐다. 문제는 정부가 한 달 전부터 이미 범인을 주시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런 기막힌 우연은 부시가 러시아에서 평화협정을 맺음으로써 다시 한 번 재연되었다. 백악관과 할리우드가 모종의 목적을 가지고 비밀회합을 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받지만, 당사자들은 극구 부인한다. 그러나 전쟁이 영화를 부추기고 영화가 또 전쟁을 긍정적으로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국민들을 선동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할리웃 영화 역사를 돌아본다. 00:00- 타이틀 00:26- 프롤로그 - 9.11 테러 직후 마련된 할리우드와 워싱턴간의 비밀 회합! 2차 대전부터 현재의 '테러와의 전쟁'까지 지난 반세기동안 지속되어온 할리우드와 워싱턴간의 협력관계에 대해 알아봄 01:12- 전CM 04:45- 방사능 테러범 검거 사건과 <섬 오브 올 피어스>의 개봉 - 짐 호버만(미 빌리지보이스지 영화평론가) 인터뷰 - 메이스 뉴펠드(섬 오브 올 피어스 제작자) 인터뷰 - 방사능 테러범 사전 검거 6.10 국방차관 발표 - 5.31 영화 <섬 오브 올 피어스> 개봉 - 짐 호버만(미 빌리지보이스지 영화평론가)인터뷰 - 메이스 뉴펠드(섬 오브 올 피어스 제작자) 인터뷰 08:09- 백악관과 할리우드의 비밀회합의 의혹 - 브라이스 자벨(미 TV 아카데미학회장) 인터뷰 - 2001.11.11 할리우드.백악관 공개 기자회견 . 칼 로브(정치 수석 보좌관), 셰리 랜싱(파라마운트사 부회장) 10:51- 헐리우드 전쟁 영화 개봉 붐 - 2.26 영화 <위 워 솔저스> 백악관 시사회 - 펜타곤 지원을 받은 영화 <블랙호크다운> 제작 현장 14:17- 헐리우드와 펜타곤의 합작 영화 - 잭 워너(워너브라더스 사장) 훈상 수상 - 펜타곤(미 국방성), 필립 스트룹(펜타곤 할리우드 담당관) 인터뷰 - 조지타운대학교에 보관된 국방성 문서파일 - 1943년 다큐멘터리 영화 <우리는 왜 싸우는가> . 진주만 공격 - 1942년 영화 <웨이크 아일랜드>, 1943년<과달카날 다이어리>,<바탄> - 1994년 영화 <긴급명령> - 2002년 영화 <윈드토커> - 1968년 영화 <그린 베레> - 1986년 영화 <탑건> 46:21- 해군 장교 후보생 학교 48:18- 4.25 영화 <룰스 오브 인게이지먼트> 항의 시위 51:41- 9편 자유의 보루(수정헌법1조)예고 52:14- 후CM |
프로그램 구입안내
02-789-0123- 평일:09:00~18:00
- 점심:12:00~13:00
- 토요일, 공휴일 휴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