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당 상세내용
제목/방영회 | 방영일 | 방영시간 | 상세보기 |
---|---|---|---|
MBC 스페셜 | 20021020 | 58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미국, 7부-인종, 약자보호조치> 내용
로드니 킹 사건, 도노반 잭슨 사건으로 촉발된 LA폭동은 그간 뿌리 깊었던 인종차별에 대한 흑인들의 분노를 보여줬다. 이러한 불평등을 개선하고자 제정된 약자보호조치(Affirmative action)조차 별다른 효과를 보이지 못했다. 최근에야 이 법률의 수혜를 받게된 소수민족 명사들의 인터뷰를 들어본다. 나아가 이제는 약자보호조치가 오히려 백인들에게 역차별을 주게 되자, 백인들의 인권을 보호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활발히 일고 있다. 00:00- 타이틀 00:27- 프롤로그 01:39- 전CM 05:13- 1992.4 LA 폭동 - 로드니 킹 사건(1991.3), 도노반 잭슨 사건(2002.7) - 제레미 모스(도노반 잭슨 구타 경찰관) 소송 - LA지역 흑인 갱단 '트루스' 11:14- 캘리포니아 오클랜드시 인종별 거주 환경 조사 - 데보라 루이(오클랜드시 시청 홍보담당)인터뷰 - 알버트 게츠(오클랜드시 경찰서 홍보담당)인터뷰 - 장태한(리버사이드대 인류학 교수) 인터뷰 - 흑인 거주 지역 - 중남미계 거주지역 - 백인 거주 지역 18:21- 약자보호조치(Affirmative Action) 19:52- 약자보호조치(Affirmative Action)가 확립되기까지의 역사 - 링컨 노예 해방 선언(1862), 14차 개정 헌법 - 워싱턴 대행진(1963년), 마틴 루터 킹(흑인인권운동가) 연설 - 1961 케네디 대통령 취임, 케네디 행정명령 10925호(최초로 고용부문에서 인종차별 금지) - 존슨 대통령, 민권법 제정.공표(1964), 존슨 행정명령 10925호 24:58- 약자보호조치의 수혜자들 - 흑인 최초 합참의장 콜린 파월(국무장관) - 교육부문 약자보호조치 수혜자 인터뷰 . 에바 페터슨(민권변호사 협회장) . 빌란 리(변호사) . 로사 카브레라(변호사) - 고용부문 약자보호조치 수혜자 인터뷰 . 엘렌 킴(버클리대 종신교수) . 제리 강(UCLA 교수) - 기업 경영 부문 약자보호조치 수혜자 인터뷰 . 선학규(LA 시온캐비넷사 사장) 33:57- 약자보호조치로 인한 백인들의 반발 - 닉슨 대통령(공화당) 당선, 존슨 대통령 동조 '흑인의 백인 지역 취학 금지 판결', 1974 웨버소송사건 - UC 데이비스 의대, 약자보호조치로 입학 거절된 백인 '바키' 사건 논쟁, 입학 허가된 바키 37:58- 미시건대, 약자보호조치 관련 소송 진행 43:43- CIR 미국의 대표적 백인 인권 변호사 단체 45:43- 캘리포니아 209(소수인종등에게 부여한 혜택 전면 금지법) 55:29- 후CM |
|||
MBC 스페셜 | 20021020 | 58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미국, 7부-인종, 약자보호조치> 내용
로드니 킹 사건, 도노반 잭슨 사건으로 촉발된 LA폭동은 그간 뿌리 깊었던 인종차별에 대한 흑인들의 분노를 보여줬다. 이러한 불평등을 개선하고자 제정된 약자보호조치(Affirmative action)조차 별다른 효과를 보이지 못했다. 최근에야 이 법률의 수혜를 받게된 소수민족 명사들의 인터뷰를 들어본다. 나아가 이제는 약자보호조치가 오히려 백인들에게 역차별을 주게 되자, 백인들의 인권을 보호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활발히 일고 있다. 00:00- 타이틀 00:27- 프롤로그 01:39- 전CM 05:13- 1992.4 LA 폭동 - 로드니 킹 사건(1991.3), 도노반 잭슨 사건(2002.7) - 제레미 모스(도노반 잭슨 구타 경찰관) 소송 - LA지역 흑인 갱단 '트루스' 11:14- 캘리포니아 오클랜드시 인종별 거주 환경 조사 - 데보라 루이(오클랜드시 시청 홍보담당)인터뷰 - 알버트 게츠(오클랜드시 경찰서 홍보담당)인터뷰 - 장태한(리버사이드대 인류학 교수) 인터뷰 - 흑인 거주 지역 - 중남미계 거주지역 - 백인 거주 지역 18:21- 약자보호조치(Affirmative Action) 19:52- 약자보호조치(Affirmative Action)가 확립되기까지의 역사 - 링컨 노예 해방 선언(1862), 14차 개정 헌법 - 워싱턴 대행진(1963년), 마틴 루터 킹(흑인인권운동가) 연설 - 1961 케네디 대통령 취임, 케네디 행정명령 10925호(최초로 고용부문에서 인종차별 금지) - 존슨 대통령, 민권법 제정.공표(1964), 존슨 행정명령 10925호 24:58- 약자보호조치의 수혜자들 - 흑인 최초 합참의장 콜린 파월(국무장관) - 교육부문 약자보호조치 수혜자 인터뷰 . 에바 페터슨(민권변호사 협회장) . 빌란 리(변호사) . 로사 카브레라(변호사) - 고용부문 약자보호조치 수혜자 인터뷰 . 엘렌 킴(버클리대 종신교수) . 제리 강(UCLA 교수) - 기업 경영 부문 약자보호조치 수혜자 인터뷰 . 선학규(LA 시온캐비넷사 사장) 33:57- 약자보호조치로 인한 백인들의 반발 - 닉슨 대통령(공화당) 당선, 존슨 대통령 동조 '흑인의 백인 지역 취학 금지 판결', 1974 웨버소송사건 - UC 데이비스 의대, 약자보호조치로 입학 거절된 백인 '바키' 사건 논쟁, 입학 허가된 바키 37:58- 미시건대, 약자보호조치 관련 소송 진행 43:43- CIR 미국의 대표적 백인 인권 변호사 단체 45:43- 캘리포니아 209(소수인종등에게 부여한 혜택 전면 금지법) 55:29- 후CM |
|||
MBC 스페셜 | 20021013 | 53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미국, 6부- 공립학교의 개혁 열풍> 내용
미국은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의무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전체 학생의 90% 정도가 학비가 무료인 공립학교를 다닌다. 공립학교에 대한 미국인들의 생각은 극과 극으로 다른데 어떤 이에게 그 곳은 천국이지만 어떤 이에게는 지옥보다 못한 곳이다. 공교육은 아이들에게 공평하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의무가 있다. 그러나 부가 배움의 정도를 극명하게 갈라놓는 현실에서 어떤 아이도 뒤쳐지지 않고 나란히 학교 문을 나설 수 있을 것인지. 그 묘책을 찾아 미국의 공립학교는 지금 개혁중이다. 00:00- 타이틀 00:48- 전CM 04:22- 프롤로그 04:48- 워싱턴D.C KIPP KEY 아카데미(챠터스쿨, 중학교) - 5학년 수업 - 수잔 쉐플러(교장) 인터뷰 16:46- 2002.1.8 No Child Left Behind 교육법안 통과 - 학력시험 추진 계획 19:06- 바우처 시스템, 찬반 논란 - 바우처 시스템: 공사립을 불문하고 학생이 지원하는 학교에 재정이 투입되는 제도 - 플로리다 펜사콜라, 사립학교에 다니는 조나산 24:07- 20세기 미국의 공교육 - 1957년 인공위성 스푸트니크호 발사 후 교육개혁 - 1983년 보고서 <위기에 처한 국가> - 1980년대 대통령들의 교육 강조 . 80년대 초반 일본의 경제발전으로 미국의 독점적 지위가 흔들리는 것을 교육에서 찾고자 함 . 시험은 가장 중요한 개혁도구가 됨, 읽기 강조 28:57- Child Left Behind(어떤 아이도 뒤쳐지지 않기 법안) - 읽기 강조, 표준학력 시험 - 플로리다 교육청 읽기 캠페인 - 플로리다주 템파시 팜리버초등학교 . 수업시간, 릴리언 와그너(교장) 인터뷰 - 표준학력 시험의 부정적 사례 . 등급유지에 대한 부담감으로 부정행위등 여러 부작용 발생 . 규격화된 평가를 거부하는 학부모들도 생겨 36:57- 미국 공립학교의 문제 - 교육체계에서 비롯 - 교육비 관련 재정문제 - 메릴랜드주 몽고메리카운티, 로버트 프로스트중학교 . 학생1인당 교육비로 미국전체 평균교육비 보다 많이 쓴다는 공립학교 . 공릭학교 교사 연봉 비교 . Blue Ribbon School, 미 교육부가 지정한 성적 우수학교 - 필라델피아, 민간기업이 인수한 피츠싸이먼중학교 . 학내안전문제, 교육의 이윤화 우려, 소득에 따른 교육격차 - 팜리버초등학교 유치원 교실 50:06- 다음편 예고 - 인종, Affirmative Action 50:47- 후CM |
|||
MBC 스페셜 | 20021013 | 53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미국, 6부- 공립학교의 개혁 열풍> 내용
미국은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의무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전체 학생의 90% 정도가 학비가 무료인 공립학교를 다닌다. 공립학교에 대한 미국인들의 생각은 극과 극으로 다른데 어떤 이에게 그 곳은 천국이지만 어떤 이에게는 지옥보다 못한 곳이다. 공교육은 아이들에게 공평하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의무가 있다. 그러나 부가 배움의 정도를 극명하게 갈라놓는 현실에서 어떤 아이도 뒤쳐지지 않고 나란히 학교 문을 나설 수 있을 것인지. 그 묘책을 찾아 미국의 공립학교는 지금 개혁중이다. 00:00- 타이틀 00:48- 전CM 04:22- 프롤로그 04:48- 워싱턴D.C KIPP KEY 아카데미(챠터스쿨, 중학교) - 5학년 수업 - 수잔 쉐플러(교장) 인터뷰 16:46- 2002.1.8 No Child Left Behind 교육법안 통과 - 학력시험 추진 계획 19:06- 바우처 시스템, 찬반 논란 - 바우처 시스템: 공사립을 불문하고 학생이 지원하는 학교에 재정이 투입되는 제도 - 플로리다 펜사콜라, 사립학교에 다니는 조나산 24:07- 20세기 미국의 공교육 - 1957년 인공위성 스푸트니크호 발사 후 교육개혁 - 1983년 보고서 <위기에 처한 국가> - 1980년대 대통령들의 교육 강조 . 80년대 초반 일본의 경제발전으로 미국의 독점적 지위가 흔들리는 것을 교육에서 찾고자 함 . 시험은 가장 중요한 개혁도구가 됨, 읽기 강조 28:57- Child Left Behind(어떤 아이도 뒤쳐지지 않기 법안) - 읽기 강조, 표준학력 시험 - 플로리다 교육청 읽기 캠페인 - 플로리다주 템파시 팜리버초등학교 . 수업시간, 릴리언 와그너(교장) 인터뷰 - 표준학력 시험의 부정적 사례 . 등급유지에 대한 부담감으로 부정행위등 여러 부작용 발생 . 규격화된 평가를 거부하는 학부모들도 생겨 36:57- 미국 공립학교의 문제 - 교육체계에서 비롯 - 교육비 관련 재정문제 - 메릴랜드주 몽고메리카운티, 로버트 프로스트중학교 . 학생1인당 교육비로 미국전체 평균교육비 보다 많이 쓴다는 공립학교 . 공릭학교 교사 연봉 비교 . Blue Ribbon School, 미 교육부가 지정한 성적 우수학교 - 필라델피아, 민간기업이 인수한 피츠싸이먼중학교 . 학내안전문제, 교육의 이윤화 우려, 소득에 따른 교육격차 - 팜리버초등학교 유치원 교실 50:06- 다음편 예고 - 인종, Affirmative Action 50:47- 후CM |
|||
MBC 스페셜 | 20021006 | 53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미국, 5부- 시민의 힘> 내용
미국의 자존심에 치명상을 입혔던 9.11. 그것은 남북 전쟁 이후 미국에서 일어난 가장 큰 재난이었다. 전 미국을 뒤흔든 충격. 그러나 이것은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돋보이는 계기가 되었다. 전국의 적십자사와 병원에는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12일 단 하루만에 무려 20만 명이 헌혈을 했다. 온갖 종류의 구호물품과 기부금도 도착했다. 특히 기부금은 18억달러가 넘어 사상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9천여 명의 자원봉사자들이 생업을 뒤로하고 복구현장 에 뛰어들었다. 자원봉사자가 넘쳐나 용접공과 철골조립공 등 필수 인력을 제외하고 나머지 지원자들을 돌려보내기까지 했다. 그 엄청난 재난 앞에서는 여자와 남자, 청년과 노인이 따로 없었다. 그저 곤경에 빠진 나라를 위해 무엇인가를 하려는 국민이 있을 뿐이었다. 소방관들과 함께 자원 봉사자들은 시민들의 영웅이었다. 부시는 이를 놓치지 않았다. 9.11 일주년을 앞두고 부시는 전국민의 자원봉사를 촉구했다. 지금 미국은 자원봉사의 전성기를 맞이했다. 전국민의 절반이 자원봉사를 하는 나라 미국.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힘은 무엇일까. 00:00- 타이틀 00:47- 전CM 04:19- 프롤로그 07:15- 미국의 자원봉사 문화 - 9.11 테러에서 빛난 자원봉사활동 - 국가별 자원봉사 참여율, 1998년 자원봉사 참여인구 - 뉴저지주 린허스트 지역센터 . 치어리더 자원봉사 코치 7년차 지나 아네마날리 . 야구 자원봉사 코치 7년차 로버트 초소비치 - 메릴랜드주 버튼스빌 자원봉사 12년차 신홀슨 가족 . 콜즈빌 교회 '밀즈 온 휠즈'사무실, 어려운 이웃에게 도시락 배달 - 뉴저지주 린허스트, 자원봉사 소방관들로 구성된 소방서 . 1920년대 사용 소방차, 전통적으로 이어지는 자원봉사 17:41- 자원봉사 문화의 뿌리, 메이플라워호 - 브라이언 오코넬(터프츠 대학 행정대학원 교수) 인터뷰 - (흑백사진)뉴햄프셔 제4연대 자원입대자 모집, 지원병이 대다수였던 남북전쟁으로 많은 자원봉사단체 형성 19:06- 필립스 브룩스 하우스(PBHA) - 하버드내, 자원봉사 클럽 - (흑백)1961년 케네디 대통령 취임식, 평화봉사단 창설 - 1964년 존슨, VISTA(미국 국내 봉사단) - 1971년 닉슨, ACTION(자원봉사 담당 정부조직 통합) - 1990년 부시, POLF(촛불재단, 전국 단위의 자원봉사조직) - 1994년 클린턴, AMERICORPS(아메리코) 25:09- 1997.4.27-29, 미국의 미래를 위한 대통령들의 정상회담 - 미국 대통령들의 자원봉사 전진대회 - 보스턴, 세대간의 화합 프로그램 참여하는 자원봉사자들 - 볼티모어, UMBC 슈라이버센터 31:12- 뉴욕 허드슨 길드 어린이집 - 기업들의 적극적 자원봉사 - 스탠리 S. 리토우(IBM 지역사회 협력관계 부사장) 인터뷰 - IBM 본사, IBM 멘터링 프로그램(온란인을 통한 청소년 교육) 33:43- 여러가지 정책을 통해 자원봉사를 장려하는 미국 - 메릴랜드주 새버나 파크 중학교, 자원봉사 프로그램 - 브로드닉 고등학교, 봉사 학습 . 수업과 연계하여 자원봉사 진행 - 170명의 노인자원봉사들로 운영되는 홀리데이 파크 노인센터 - 워싱턴 D.C, 커먼코즈 . 시민단체, 시민참여 유도, 음성 정치자금 폐지 시위. 소액 기부금만으로 유지 . 2000년 미국인들의 기부, 인종별 기부 참여율(도표) - 뉴저지주 마운트 홀리 어린이집 후원 중고품 할인 백화점 . 서민들의 생활속의 기부문화 44:55- 미국의 독특한 기부문화 - 1996.11.20 마이클 조던 500만달러 기부금 전달식 . '스포츠 자선'이란 신조어 낳아 - 갑부들의 기부문화 . 멜린다 게이츠와 빌 게이츠, 록펠러센터 . 이미지 메이킹이나 절세수단 등의 또다른 의도가 지적 - 상속세 폐지 캠페인 . 부시의 상속세 폐지 공약, 시민단체 운동, 윌리엄 게이츠, 워렌 버핏, 폴뉴먼 등의 갑부들의 상속세 폐지 청원 동참 48:33- 뉴욕 2002.9.11, 전쟁 반대 시위 50:01- 다음편 예고 50:43- 후CM |
|||
MBC 스페셜 | 20021006 | 53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미국, 5부- 시민의 힘> 내용
미국의 자존심에 치명상을 입혔던 9.11. 그것은 남북 전쟁 이후 미국에서 일어난 가장 큰 재난이었다. 전 미국을 뒤흔든 충격. 그러나 이것은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돋보이는 계기가 되었다. 전국의 적십자사와 병원에는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12일 단 하루만에 무려 20만 명이 헌혈을 했다. 온갖 종류의 구호물품과 기부금도 도착했다. 특히 기부금은 18억달러가 넘어 사상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9천여 명의 자원봉사자들이 생업을 뒤로하고 복구현장 에 뛰어들었다. 자원봉사자가 넘쳐나 용접공과 철골조립공 등 필수 인력을 제외하고 나머지 지원자들을 돌려보내기까지 했다. 그 엄청난 재난 앞에서는 여자와 남자, 청년과 노인이 따로 없었다. 그저 곤경에 빠진 나라를 위해 무엇인가를 하려는 국민이 있을 뿐이었다. 소방관들과 함께 자원 봉사자들은 시민들의 영웅이었다. 부시는 이를 놓치지 않았다. 9.11 일주년을 앞두고 부시는 전국민의 자원봉사를 촉구했다. 지금 미국은 자원봉사의 전성기를 맞이했다. 전국민의 절반이 자원봉사를 하는 나라 미국.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힘은 무엇일까. 00:00- 타이틀 00:47- 전CM 04:19- 프롤로그 07:15- 미국의 자원봉사 문화 - 9.11 테러에서 빛난 자원봉사활동 - 국가별 자원봉사 참여율, 1998년 자원봉사 참여인구 - 뉴저지주 린허스트 지역센터 . 치어리더 자원봉사 코치 7년차 지나 아네마날리 . 야구 자원봉사 코치 7년차 로버트 초소비치 - 메릴랜드주 버튼스빌 자원봉사 12년차 신홀슨 가족 . 콜즈빌 교회 '밀즈 온 휠즈'사무실, 어려운 이웃에게 도시락 배달 - 뉴저지주 린허스트, 자원봉사 소방관들로 구성된 소방서 . 1920년대 사용 소방차, 전통적으로 이어지는 자원봉사 17:41- 자원봉사 문화의 뿌리, 메이플라워호 - 브라이언 오코넬(터프츠 대학 행정대학원 교수) 인터뷰 - (흑백사진)뉴햄프셔 제4연대 자원입대자 모집, 지원병이 대다수였던 남북전쟁으로 많은 자원봉사단체 형성 19:06- 필립스 브룩스 하우스(PBHA) - 하버드내, 자원봉사 클럽 - (흑백)1961년 케네디 대통령 취임식, 평화봉사단 창설 - 1964년 존슨, VISTA(미국 국내 봉사단) - 1971년 닉슨, ACTION(자원봉사 담당 정부조직 통합) - 1990년 부시, POLF(촛불재단, 전국 단위의 자원봉사조직) - 1994년 클린턴, AMERICORPS(아메리코) 25:09- 1997.4.27-29, 미국의 미래를 위한 대통령들의 정상회담 - 미국 대통령들의 자원봉사 전진대회 - 보스턴, 세대간의 화합 프로그램 참여하는 자원봉사자들 - 볼티모어, UMBC 슈라이버센터 31:12- 뉴욕 허드슨 길드 어린이집 - 기업들의 적극적 자원봉사 - 스탠리 S. 리토우(IBM 지역사회 협력관계 부사장) 인터뷰 - IBM 본사, IBM 멘터링 프로그램(온란인을 통한 청소년 교육) 33:43- 여러가지 정책을 통해 자원봉사를 장려하는 미국 - 메릴랜드주 새버나 파크 중학교, 자원봉사 프로그램 - 브로드닉 고등학교, 봉사 학습 . 수업과 연계하여 자원봉사 진행 - 170명의 노인자원봉사들로 운영되는 홀리데이 파크 노인센터 - 워싱턴 D.C, 커먼코즈 . 시민단체, 시민참여 유도, 음성 정치자금 폐지 시위. 소액 기부금만으로 유지 . 2000년 미국인들의 기부, 인종별 기부 참여율(도표) - 뉴저지주 마운트 홀리 어린이집 후원 중고품 할인 백화점 . 서민들의 생활속의 기부문화 44:55- 미국의 독특한 기부문화 - 1996.11.20 마이클 조던 500만달러 기부금 전달식 . '스포츠 자선'이란 신조어 낳아 - 갑부들의 기부문화 . 멜린다 게이츠와 빌 게이츠, 록펠러센터 . 이미지 메이킹이나 절세수단 등의 또다른 의도가 지적 - 상속세 폐지 캠페인 . 부시의 상속세 폐지 공약, 시민단체 운동, 윌리엄 게이츠, 워렌 버핏, 폴뉴먼 등의 갑부들의 상속세 폐지 청원 동참 48:33- 뉴욕 2002.9.11, 전쟁 반대 시위 50:01- 다음편 예고 50:43- 후CM |
|||
MBC 스페셜 | 20020929 | 55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미국, 4부- 총의 나라> 내용
그들에게 총은 역사였고 그 총은 지금도 미국인들의 삶 속에 살아 있는데. 한 해 3만여 명이 총으로 사망하는 나라. 그런데도 총기 소유의 자유를 포기할 수 없다는 미국인들, 그들에게 총은 무엇이 며 총을 통해 본 미국은 어떤 모습일까. 자유의 나라 미국. 그들의 손에는 늘 힘의 상징인 총이 있었다. 수많은 상처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결코 총을 포기하지는 않을 듯 하다. 그들에게 총은 독립과 자유, 그리고 번영의 상징이었다. 총의 발달과 더불으 미국은 발전을 거듭해 왔고 마침내 세계 최강 의 국가가 되었다. 인디언을 몰아내고 서부를 제압하고 그들만의 평화를 가능하게 했던 미국의 총. 이제 이런 총의 신화은 세계 최 강국 미국을 지탱하는 가공할 무기로 변신해 있다. 00:00- 타이틀 00:28- 프롤로그 01:27- 전CM 05:00- 2000.5.14 워싱턴DC, 백만 어머니 행진 - 6세 어린이 총격사건을 계기로 총기 규제 운동 07:11- 미국의 총기사고 관련 통계 - 총기로 인한 사망자 연간 3만여명, 부상자 연간 10만명, 전체범죄의 65%가 총기범죄 08:01- 총기 구입이 용이한 미국사회 - 캘리포니아 산호세, 스포츠상점에서 판매되는 총기류 . 신원조회 결과 이상이 없으면 바로 구입가능 - 미국 가정의 45% 총기 소유 - 네바다 권총 아카데미 - 라스베가스 건쇼(Gun Show, 총 전시장) . 개인총기보유량 2억 3천만정 . 슈퍼마켓에서 물건을 사듯 쉽게 구입 - 불법 총기 거래 현장 17:28- 어린이, 외국인 및 강력범죄 총기사고 - 어린이 총기사고 . 19세 이하 총기류 사망 3282명(1999년) . 1992.10.17 루지애나 할로윈데이에 총기로 사망한 요시히로 하토리, 무죄 선고된 가해자 로드니 피어스 - 외국인들의 총기사고 피해 - 총기로 희생되는 LA 한인 교민들 . LA 한인타운, 비디오카메라.방어벽 설치된 한인 운영 상점 - 1997.2.28 LA 아메리카은행 총기 강도 사건, 총격전 . 1997.2.28 LA 아메리카은행 총기 강도 사건, 총격전 23:21- 경찰의 총기범죄 관련 대응훈련 - LA 경찰학교의 사격 테스트, 검문 훈련, 진압 훈련 - 경찰특공대(SWAT) 범죄진압 훈련 26:28- 총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 연간 1300억 달러 27:16- 총기 규제법 - 개인의 총기소유 자유 75% 찬성(여론조사) - 1968 유명인들의 총격 암살로 법제정 근거 마련 . 1968.6.5 로버트 케네디 의원 암살 . 1968.4.4 마틴 루터 킹 암살 - 1968년 총기 규제 법안 주요내용 - 1981.3.30 레이건 저격 사건 . 총기 규제법의 진전 계기 - 1994년 제정된 브래디 법안 제정 . 주요내용, 제정과정 29:44- NRA(전미총기협회), GOA(미국의 총기 지지단체) 33:43- 미국인들의 총기사용에 관한 역사와 배경 - 2002.7.4 워싱턴 D.C, 독립기념일 퍼레이드 - 권리장전, 수정헌법2조에서 무기소유 권리 인정 - 1773 보스턴 차 사건, 다큐멘터리 영화 <미국의 새벽>중에서 - 피스메이커(평화의 창시자), 영화 <역마차> 중에서 - 산호세 윈체스터 저택에 전시된 총기류 '서부를 제압한 총' - 남북전쟁, 대량 생산에 들어간 총기공장 - 모든사람을 평등하게 하는 총 이퀼라이저, 영화 <코만체로> 중 43:51- 교내 총기사건 - 998.5.21 써스턴 고교 사건 . 부모살해, 학생 1명 사망, 23명 중상 - 1999.4.20 컬럼바인 고교 사건 . 당시 CCTV 화면 - 1999 제정된 로텐버그 법안 주요 내용 . 내용약화로 유명무실 48:47- 대통령 선거의 뜨거운 감자, 총기규제 문제 - 엘고어 총기소유 반대입장, 부시 찬성입장 - 부시정부, '총기소유는 개인의 권리' 49:56- 에필로그 51:30- 다음편 예고 52:09- 후CM |
|||
MBC 스페셜 | 20020929 | 55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미국, 4부- 총의 나라> 내용
그들에게 총은 역사였고 그 총은 지금도 미국인들의 삶 속에 살아 있는데. 한 해 3만여 명이 총으로 사망하는 나라. 그런데도 총기 소유의 자유를 포기할 수 없다는 미국인들, 그들에게 총은 무엇이 며 총을 통해 본 미국은 어떤 모습일까. 자유의 나라 미국. 그들의 손에는 늘 힘의 상징인 총이 있었다. 수많은 상처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결코 총을 포기하지는 않을 듯 하다. 그들에게 총은 독립과 자유, 그리고 번영의 상징이었다. 총의 발달과 더불으 미국은 발전을 거듭해 왔고 마침내 세계 최강 의 국가가 되었다. 인디언을 몰아내고 서부를 제압하고 그들만의 평화를 가능하게 했던 미국의 총. 이제 이런 총의 신화은 세계 최 강국 미국을 지탱하는 가공할 무기로 변신해 있다. 00:00- 타이틀 00:28- 프롤로그 01:27- 전CM 05:00- 2000.5.14 워싱턴DC, 백만 어머니 행진 - 6세 어린이 총격사건을 계기로 총기 규제 운동 07:11- 미국의 총기사고 관련 통계 - 총기로 인한 사망자 연간 3만여명, 부상자 연간 10만명, 전체범죄의 65%가 총기범죄 08:01- 총기 구입이 용이한 미국사회 - 캘리포니아 산호세, 스포츠상점에서 판매되는 총기류 . 신원조회 결과 이상이 없으면 바로 구입가능 - 미국 가정의 45% 총기 소유 - 네바다 권총 아카데미 - 라스베가스 건쇼(Gun Show, 총 전시장) . 개인총기보유량 2억 3천만정 . 슈퍼마켓에서 물건을 사듯 쉽게 구입 - 불법 총기 거래 현장 17:28- 어린이, 외국인 및 강력범죄 총기사고 - 어린이 총기사고 . 19세 이하 총기류 사망 3282명(1999년) . 1992.10.17 루지애나 할로윈데이에 총기로 사망한 요시히로 하토리, 무죄 선고된 가해자 로드니 피어스 - 외국인들의 총기사고 피해 - 총기로 희생되는 LA 한인 교민들 . LA 한인타운, 비디오카메라.방어벽 설치된 한인 운영 상점 - 1997.2.28 LA 아메리카은행 총기 강도 사건, 총격전 . 1997.2.28 LA 아메리카은행 총기 강도 사건, 총격전 23:21- 경찰의 총기범죄 관련 대응훈련 - LA 경찰학교의 사격 테스트, 검문 훈련, 진압 훈련 - 경찰특공대(SWAT) 범죄진압 훈련 26:28- 총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 연간 1300억 달러 27:16- 총기 규제법 - 개인의 총기소유 자유 75% 찬성(여론조사) - 1968 유명인들의 총격 암살로 법제정 근거 마련 . 1968.6.5 로버트 케네디 의원 암살 . 1968.4.4 마틴 루터 킹 암살 - 1968년 총기 규제 법안 주요내용 - 1981.3.30 레이건 저격 사건 . 총기 규제법의 진전 계기 - 1994년 제정된 브래디 법안 제정 . 주요내용, 제정과정 29:44- NRA(전미총기협회), GOA(미국의 총기 지지단체) 33:43- 미국인들의 총기사용에 관한 역사와 배경 - 2002.7.4 워싱턴 D.C, 독립기념일 퍼레이드 - 권리장전, 수정헌법2조에서 무기소유 권리 인정 - 1773 보스턴 차 사건, 다큐멘터리 영화 <미국의 새벽>중에서 - 피스메이커(평화의 창시자), 영화 <역마차> 중에서 - 산호세 윈체스터 저택에 전시된 총기류 '서부를 제압한 총' - 남북전쟁, 대량 생산에 들어간 총기공장 - 모든사람을 평등하게 하는 총 이퀼라이저, 영화 <코만체로> 중 43:51- 교내 총기사건 - 998.5.21 써스턴 고교 사건 . 부모살해, 학생 1명 사망, 23명 중상 - 1999.4.20 컬럼바인 고교 사건 . 당시 CCTV 화면 - 1999 제정된 로텐버그 법안 주요 내용 . 내용약화로 유명무실 48:47- 대통령 선거의 뜨거운 감자, 총기규제 문제 - 엘고어 총기소유 반대입장, 부시 찬성입장 - 부시정부, '총기소유는 개인의 권리' 49:56- 에필로그 51:30- 다음편 예고 52:09- 후CM |
|||
MBC 스페셜 | 20020915 | 51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미국, 3부- 전쟁과 평화, 그리고 진실> 내용
테러와의 전쟁이 한창이던 2002년 초, 느닷없는 악의 축 발언이 세계를 놀라게 했다. 미국을 증오하는 사람들. 새천년 벽두부터 테러와의 전쟁이 휘몰아친 것이다. 세계 유일 초강대국 미국. 테러리스트 오사마 빈 라덴과 악의 축 후세인과 김정일이 있는 한 미국은 자국의 평화가 위협받는다고 말 한다. 오늘도 전쟁은 계속되고 있다.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세계는 미국의 또다른 얼굴을 본다. 미국의 힘의 정치에 희생되고 있는 제 3세계의 수많은 민간인 피해자들이 바로 그들이다. 미 대륙의 역사 200년, 미국은 끊임없이 대륙을 확장하고 막강한 힘을 키워왔다. 마침내 꿈은 이루어져 미국은 세계 최강대국이 되었고 미국인들은 조국과 위대한 지도자들을 자랑스러워한다. 세계 최강국 미국이 가진 힘의 역사가 가난하고 힘이 없는 나라와 그 국민들에게 축복으로 기록 될 수 있는 길은 과연 어떤 것일까. 00:00- 타이틀 00:25- 프롤로그 01:55- 전CM 05:27- 1991.1.17 걸프전 발발 05:42- 이라크 곳곳에 드러나는 전쟁의 상처 - 붐비는 병원, 부족한 의약품 . 이라크 바그다드 사담 아동병원 . 전쟁의 영향으로 대부분 암환자 어린이 . 유엔의 경제제제로 치료약, 물품 부족 . 이라크담당 유엔 사무부총장 데니스 할러데이와 후임 한스 폰 스포닉, 유엔과 미국의 비인도적 경제제제 비판하며 사임 - 미정부의 강경한 입장 . 후세인 때문에 이라크 경제제제 철회할 수 없다는 입장 . 램지 클라크(전 미 법무장관) 인터뷰 - 우라늄 사용으로 백혈병,암,기형아 출산 증가 . 열화 우라늄탄에 피격된 탱크, 800톤 우라늄 사용 . 헬렌 칼디코트 반핵운동가 인터뷰 - 부시대통령 기자회견 중 일부 . 사담후세인 비판 12:57- 미국과 이라크의 관계 변화 - 후세인의 쿠웨이트 침공 이후 적대관계 . 노암 촘스키 MIT 교수 인터뷰 . 유엔 안보리 결의 660 . 중동 분열을 통해 무기판매 노려 - 미국의 세계화 전략에 필요한 중동 원유 통제권 16:36- 미국의 세력팽창 18:04- 독재정권을 도와 중남미를 장악하는 미국 - 파나마, 니카라과, 과테말라 등 중남미 각나라의 독재정권 도운후 절대복종이란 수확을 얻음 - 엘살바도르 농민반란군 소요, 로메로 대주교 암살 - 스쿨 오브 아메리카 . 라틴아메리카를 위한 군사훈련학교 . 제프리 윈더 SOAW 인터뷰 . 파나마의 마뉴엘 노리에가, 볼리비아의 휴고 반세르, 엘살바도르의 로베르토 도비송, 과테말라의 줄리오 알피레즈 등이 이 학교 출신 . 스쿨 오브 아메리카 폐교 요구 시위 23:43- 2차 세계대전 후 최강국이 된 미국 - 조지 케넌(외교관)은 2차대전 후 세계부의 50%차지, 힘의 정치로 모든 문제 해결 할때가 올 것이라 주장 - 군수업체 호황, 냉전기간 내내 높은 국방예산 유지 24:49- 소련 붕괴후 명분을 잃은 높은 국방예산 - 록히드 마틴 홍보 비디오(군수업체 필요성강조) - 9.11 이전까지 국방예산 감소세 26:38- 국방 예산을 늘리는 정당한 이유가 된 2001년 9.11 테러 27:40- 국방부와 군수업체의 긴밀한 관계 - 미국 빅3 군수업체 록히드 마틴, 보잉, 레이시언 - 군수업체와 정관계의 인사가 서로 돌고 돌아 - 무기시장 점유율, 무기 수입국 현황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군산복합체의 위험 경고 - 세계적인 국방안보전문 투자회사 K사 . K사의 2001년 연간 보고서, 윤종하 K사 한국 지사장 인터뷰 . 한국에도 상류(한미은행 주식 4.3% 인수), 부시가 도왔다는 기사 - 우리나라의 차세대 전투기 선정 관련 의혹 . 미국 보잉사의 F15K로 결정, 로비와 외압 의혹 제기 . 조주형 대령의 FX기 사업 내부 고발, 아시아타임스 기사 40:51- 브라이언 윌슨 평화운동가 인터뷰 - 세계적인 반전운동가가 된 사연 인터뷰 44:41- 에필로그 47:16- 다음편 예고 48:19- 후CM |
|||
MBC 스페셜 | 20020915 | 51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미국, 3부- 전쟁과 평화, 그리고 진실> 내용
테러와의 전쟁이 한창이던 2002년 초, 느닷없는 악의 축 발언이 세계를 놀라게 했다. 미국을 증오하는 사람들. 새천년 벽두부터 테러와의 전쟁이 휘몰아친 것이다. 세계 유일 초강대국 미국. 테러리스트 오사마 빈 라덴과 악의 축 후세인과 김정일이 있는 한 미국은 자국의 평화가 위협받는다고 말 한다. 오늘도 전쟁은 계속되고 있다.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세계는 미국의 또다른 얼굴을 본다. 미국의 힘의 정치에 희생되고 있는 제 3세계의 수많은 민간인 피해자들이 바로 그들이다. 미 대륙의 역사 200년, 미국은 끊임없이 대륙을 확장하고 막강한 힘을 키워왔다. 마침내 꿈은 이루어져 미국은 세계 최강대국이 되었고 미국인들은 조국과 위대한 지도자들을 자랑스러워한다. 세계 최강국 미국이 가진 힘의 역사가 가난하고 힘이 없는 나라와 그 국민들에게 축복으로 기록 될 수 있는 길은 과연 어떤 것일까. 00:00- 타이틀 00:25- 프롤로그 01:55- 전CM 05:27- 1991.1.17 걸프전 발발 05:42- 이라크 곳곳에 드러나는 전쟁의 상처 - 붐비는 병원, 부족한 의약품 . 이라크 바그다드 사담 아동병원 . 전쟁의 영향으로 대부분 암환자 어린이 . 유엔의 경제제제로 치료약, 물품 부족 . 이라크담당 유엔 사무부총장 데니스 할러데이와 후임 한스 폰 스포닉, 유엔과 미국의 비인도적 경제제제 비판하며 사임 - 미정부의 강경한 입장 . 후세인 때문에 이라크 경제제제 철회할 수 없다는 입장 . 램지 클라크(전 미 법무장관) 인터뷰 - 우라늄 사용으로 백혈병,암,기형아 출산 증가 . 열화 우라늄탄에 피격된 탱크, 800톤 우라늄 사용 . 헬렌 칼디코트 반핵운동가 인터뷰 - 부시대통령 기자회견 중 일부 . 사담후세인 비판 12:57- 미국과 이라크의 관계 변화 - 후세인의 쿠웨이트 침공 이후 적대관계 . 노암 촘스키 MIT 교수 인터뷰 . 유엔 안보리 결의 660 . 중동 분열을 통해 무기판매 노려 - 미국의 세계화 전략에 필요한 중동 원유 통제권 16:36- 미국의 세력팽창 18:04- 독재정권을 도와 중남미를 장악하는 미국 - 파나마, 니카라과, 과테말라 등 중남미 각나라의 독재정권 도운후 절대복종이란 수확을 얻음 - 엘살바도르 농민반란군 소요, 로메로 대주교 암살 - 스쿨 오브 아메리카 . 라틴아메리카를 위한 군사훈련학교 . 제프리 윈더 SOAW 인터뷰 . 파나마의 마뉴엘 노리에가, 볼리비아의 휴고 반세르, 엘살바도르의 로베르토 도비송, 과테말라의 줄리오 알피레즈 등이 이 학교 출신 . 스쿨 오브 아메리카 폐교 요구 시위 23:43- 2차 세계대전 후 최강국이 된 미국 - 조지 케넌(외교관)은 2차대전 후 세계부의 50%차지, 힘의 정치로 모든 문제 해결 할때가 올 것이라 주장 - 군수업체 호황, 냉전기간 내내 높은 국방예산 유지 24:49- 소련 붕괴후 명분을 잃은 높은 국방예산 - 록히드 마틴 홍보 비디오(군수업체 필요성강조) - 9.11 이전까지 국방예산 감소세 26:38- 국방 예산을 늘리는 정당한 이유가 된 2001년 9.11 테러 27:40- 국방부와 군수업체의 긴밀한 관계 - 미국 빅3 군수업체 록히드 마틴, 보잉, 레이시언 - 군수업체와 정관계의 인사가 서로 돌고 돌아 - 무기시장 점유율, 무기 수입국 현황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군산복합체의 위험 경고 - 세계적인 국방안보전문 투자회사 K사 . K사의 2001년 연간 보고서, 윤종하 K사 한국 지사장 인터뷰 . 한국에도 상류(한미은행 주식 4.3% 인수), 부시가 도왔다는 기사 - 우리나라의 차세대 전투기 선정 관련 의혹 . 미국 보잉사의 F15K로 결정, 로비와 외압 의혹 제기 . 조주형 대령의 FX기 사업 내부 고발, 아시아타임스 기사 40:51- 브라이언 윌슨 평화운동가 인터뷰 - 세계적인 반전운동가가 된 사연 인터뷰 44:41- 에필로그 47:16- 다음편 예고 48:19- 후CM |
프로그램 구입안내
02-789-0123- 평일:09:00~18:00
- 점심:12:00~13:00
- 토요일, 공휴일 휴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