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당 상세내용
제목/방영회 | 방영일 | 방영시간 | 상세보기 |
---|---|---|---|
고향은 지금, 16회 | 19970325 | 41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41- 전CM 02:13- 오프닝(신동호, 김수정) - 리포터 소개: 김상국, 김성남, 안숙희 05:55- 굴 파러 가세, 경남 통영(안숙희) - 서호 어시장 - 세병관 - 충렬사 - 해저터널 - 남망산 공원 - 굴 가공 공장 - 굴 따기 . 굴 양식장 18:21- 전통문화를 지키는 사람들, 경북 안동(김상국) - 하회별산굿 탈놀이 보존회 . 임형규(하회 별신굿 탈놀이 보존회장) . 하회탈춤 전수관, 이상호(무형 문화재 제69호) - 안동하회탈 박물관 . 김동표(안동 하회탈 박물관장), 탈 만들기 27:37- 미나리향 가득한 남원골, 전북 남원(김성남) - 미나리 나물 캐기 - 미나리 다듬기 - 미나리 경매 . 원예 농산물 공판장 - 식당에 돌아다니며 미나리 판매 40:06- 클로징 |
|||
고향은 지금, 15회 | 19970324 | 41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41- 전CM 02:12- 오프닝(신동호, 김수정) - 패널/ 전철우, 박수림, 지영옥 04:26- 경남 삼천포, 펄펄뛰는 활어 사이소(박수림) - 산낙지 낚시배 - 경남 사천시 서동, 삼천포 활어위판장 16:58- 강원도 원주, 참숯 굽는 사람들(전철우) - 참나무 벌목 작업 - 참숯 만들기 . 제일 참숯상사 29:32- 경남 거제, 바다의 꽃 우렁쉥이(지영옥) - 우렁쉥이 잡기 - 우렁쉥이 선별작업 및 출하작업 - 우렁쉥이를 이용한 요리 . 출연/ 김지연(요리연구가) 40:17- 클로징 |
|||
고향은 지금, 14회 | 19970321 | 42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41- 전CM 02:30- 오프닝(신동호,김수정) - 패널/ 김광희, 백재현, 김봉곤 04:24- 강원도 속초, 순두부 할머니 오래 오래사세요(김광희) - 김영애(순두부 할머니 80세) 집, 순드부 만드는 과정 . 속초 중앙시장 장보기 16:57- 봄이 오는 울릉도(백재현) - 돌김 . 돌김 채취 - 봄나물 캐기 - 돌김 맛보는 방청객 27:04- 전남 구례군 산동마을, 재치국 사이소(김봉곤) - 전남 구례군 산동마을, 하늘 아래 첫동네 . 고로쇠 나무 - 섬진강에서 재첩 잡기 - 재첩국 끓이기 - 경남 하동 장터 40:07- 클로징 40:47- 후CM |
|||
고향은 지금, 13회 | 19970320 | 42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22- 전CM 02:44- 오프닝(신동호,김수정) - 패널/ 배연정, 이상운, 문영미 05:13- 충남 청양군, 한과 숨은 맛을 찾아서(배연정) - 한과 만들기 . 구기자 열매 수확 . 구기자 열매를 빻고 콩물과 찹쌀가루와 반죽하기 . 튀기기, 고물 묻히기 . 포장 - 경로당에 한과를 줌 - 한과를 맛보는 방청객 15:48- 충남 보령군, 진흙이 젊음을 준다군(이상운) - 머드 화장품 원액 - 보령 명성 세라믹 진흙 가공 공장 - 진흙 채취 - 머드 화장품이 탄생하게 된 계기, 머드 화장품 설명 27:51- 영상으로 만나보는 고향의 모습 - <흙에 살리라> 29:17- 전북 완주, 그물치고 참붕어 잡고(문영미) - 경천 저수지에서 참붕어 잡기 - 참붕어찜 . 인희숙(약수가든) 인터뷰 - 붕어와 참붕어의 차이점 40:50- 클로징 |
|||
고향은 지금, 12회 | 19970319 | 42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21- 전CM 02:44- 오프닝(신동호,김수정) - 패널/ 남궁옥분, 정동남 04:33- 경기도 가평, 고향 누가 말했나(남궁옥분) - 청평 5일장 - 호명산 등 고향 둘러보기 - 전통 한지 공방에서 한지 만들기 체험 . 태지, 무늬 한지, 긁고 삶는 과정 - 표백 과정, 원료를 찧는 과정, 완성된 한지 19:32- 거창골 오부자네 징 공장(정동남) - 징을 만드는 구리덩어리 - 쇠 녹이는 작업, 바둑 작업 . 주석과 동을 1:4 비율로 녹임 - 압연, 프레스, 우김질, 부질, 담금질 작업 . 구멍이 나지 않도록 우김질을 잘 해야함 - 초울음 잡기, 가질작업, 마지막 울음 깨우기 32:11- 막내가 삼는 짚신(정동남) - 물에 담가 놓은 짚으로 만들기 - 무형문화재였던 장호익씨 아버지가 만든 짚신들 . 돌아가신 아버지 뒤를 이어 짚신을 만드는 장호익씨 - 신틀, 장호익씨 어머니가 차려준 음식 41:01- 클로징 |
|||
고향은 지금, 11회 | 19970318 | 42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41- 전CM 02:14- 오프닝(신동호, 김수정) - 패널/ 남보원(코미디언), 최왕순(개그맨), 나은정(리포터) 05:18- 주문진 앞바다의 곰잡이 사냥(최왕순) - 물곰을 잡으러 가는 길 - 잡힌 가자미, 가오리 - 물곰을 잡다 - 주민진읍 남애리, 잡은 물고기들 경매 - 물곰회, 물곰매운탕 22:00- 전북 남원, 인심좋은 돼지마을 지리산 상황마을(남보원) - 흑돼지 잡기 - 흑돼지 삶아먹기 - 마을 노래자랑 33:38- 옹고집으로 지켜온 부자 옹기 사랑(나은정) - 완성된 옹기 - 옹기 굽는 과정 . 황충길(56세 옹기 제작자) 인터뷰 41:26- 클로징 |
|||
고향은 지금, 10회 | 19970317 | 42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40- 전CM 02:12- 오프닝(신동호,김수정) - 패널/ 김종엽(연극배우), 신신애(탤런트), 박명수(개그맨) 03:35- 충북 청원, 20년 만에 열린 장날(김종엽) - 장터 나갈 준비하는 주민들 - 내수장터, 사과 팔기, 개장의식, 꽃 팔기, 뻥기계 - 막걸리 먹으면서 주민들과 대화 16:40- 전북 김제, 갯벌의 꽃 조개를 캔다(신신애) - 김제 심포항, 조개 캐러 떠나기 - 갯벌에서 백합 등 조개 캐는 어민들 - 죽합 캐기 - 작업 끝내고 조개 맛보기 29:26- 고향찾는 어릿광대, 동춘 서커스(박명수) - 동춘 서커스 홍보, 표 검사 - 다양한 서커스 공연, 마술 공연 40:43- 클로징 |
|||
고향은 지금, 9회 | 19970314 | 43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39- 전CM 02:31- 오프닝(신동호,김수정) - 패널/ 김상국(가수), 김성남(코미디언) 04:05- 제주 옥돔 먹어봐서 알류(김상국) - 제주도 서귀포항, 멸치 대풍 . 이창현(선장 49세) 인터뷰 - 수산업 협동조합,옥돔 가공 공장 16:48- 내 소가 제일이제!(김성남) - 전남 함평읍 함평 우시장 26:36- 자린고비를 아시나요(김성남) - 전남 영광, 영광 굴비 . 굴비 가공 공장(조기 세척 과정, 조기 소금간, 조기 엮거리 야외 건조) . 조기 야외 건조후 새참 41:03- 클로징 41:48- 후CM |
|||
고향은 지금, 8회 | 19970313 | 40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25- 전CM 02:47- 오프닝(신동호,김수정) - 패널/ 박수림(개그맨), 이한위(탤런트), 김영하(코미디언) 04:22- 전북 부안, 잿빛 보물 죽염(박수림) - 대나무숲에서 대나무 베기 . 3~4년된 청죽을 사용해 죽염 제조, 하루 420그루의 대나무 사용 . 김인중(개암식품 생사과장) 인터뷰 - 죽염을 넣은 주먹밥 먹기 - 전북 부안 개암식품, 죽염 만드는 공장 . 질좋은 황토를 넣어 살균작용, 구워진 소금을 8번 더 구움 16:14- 강원 춘천, 지하 460M의 신비 옥(이한위) - 옥 캐러 가는 길 - 구멍안에 다이너마이트를 넣어 옥광석을 채굴 . 구멍을 뚫고 구멍안에 다이너마이트를 넣어 옥광석을 채굴 - 발파후 옥 캐고 나르기 . 피부 미용과 건강에 좋은 옥 - 옥 틈사이에 떨어진 물이 모인 옥정수 . 옥 틈사이에 떨어진 물이 모은 - 옥가공 작업장 29:28- 충북 영동, 산에 사는 산오징어(김영하) - 오징어 해동, 손질하기 - 건조실에서 1차 건조 - 산바람에 2차 건조 39:23- 클로징 |
|||
고향은 지금, 7회 | 19970312 | 42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24- 전CM 02:47- 오프닝(신동호, 김수정) 05:20- 어리어리 어리굴젓, 서산 간월도(김광회) - 갯벌에서 굴따는 기구인 조쇠로 굴따기 . 바람이 센 갯벌에선 바람막이인 꺼적을 쓰고 일하심 . 어리굴젓: 어린굴젓 또는 맛이 어리어리 하다는데서 유래 - 어리굴젓 가공공장에서 딴 굴을 측정해 값을 매김 - 바다에서 굴 씻기 - 어리굴젓 만드는 과정 - 굴 샌드위치와 어리굴젓 시식 . 밥 사이에 굴을 넣어 계속 쌓음 - 굴부르기 군왕제 . 특산물을 보전하고 풍어를 기원하는 의식 - 방청객과 패널들 어리굴젓 시식 19:40- 외롭지 않은 섬, 울릉도(백재현) - 울릉도 저동항에서 죽도가는 길 - 죽도의 식수, 닭잡기 . 죽도 주민수: 6명, 총면적: 20ha . 식수: 빗물을 받아 일주일간 정화시켜 사용 - 더덕, 백화수 캐고 닭에 넣어 삼계탕 한그릇 30:06- 청정해역 남해장어, 경남 남해(이현순) - 낮 12시, 미끼를 넣어 장어잡는 통발을 바다에 뿌림 .통발 뿌린 후, 통발을 밤에 걷기 때문에 그 전까지 잠을 잠 - 밤 12시, 통발걷고 8시간 동안 작업 - 오전 11시, 운반선 도착으로 작업 마무리 40:45- 클로징(신동호, 김수정) |
프로그램 구입안내
02-789-0123- 평일:09:00~18:00
- 점심:12:00~13:00
- 토요일, 공휴일 휴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