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당 상세내용
제목/방영회 | 방영일 | 방영시간 | 상세보기 |
---|---|---|---|
PD수첩, 353회 | 19990223 | 50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22- 프롤로그 05:53- 오프닝(곽동국, 김영호) 08:01- HID 교육대원들의 증언 - 군번, 계급도 없는 북파 특수부대 노병들의 고백 28:21- 북파공작의 또 다른 희생자들 - 실미도 사건 . 사건 규명에 있어 의혹이 컸음 - 당시 무의도 주민들의 증언 - 실미도 특수부대의 창설배경 - 송명준씨 인터뷰 . 아버지가 북파되었다는 사실을 비공식적으로 인정 41:39- 헌법 소원 심판 청구 - 잃어버린 자신을 찾기 위해 헌법 소원 심판 청구 - 국가를 위급할 때 자신을 희생한 만큼 상응하는 대우 필요 46:36- 클로징(곽동국, 김영호) |
|||
PD수첩, 352회 | 19990209 | 52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21- 프롤로그 06:49- 오프닝(이용석, 권문혁) 07:49- 한나라당 구미집회 11:54- 지역빅딜, 경제 문제가 지역감정으로 비하됨 14:49- 영남지역 뜬소문들의 실체 - 구미공장을 뜯어다가 광주로 옮겼다? - 전라도에는 실업자가 없고 경상도에만 실업자가 많다? - 영남공장에는 연기가 안나고 호남공장에만 연기가 난다? 35:53- 지역감정의 실체 - 일반인이 느끼는 지역감정은 심각하지 않음 - 지역감정 조장하는 언론과 정치권 48:24- 클로징(이용석, 권문혁) |
|||
PD수첩, 351회 | 19990202 | 60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27- 프롤로그 06:26- 오프닝(윤길룡, 홍상운) 07:56- 이종기 리스트 공개 과정 - 검찰의 사건 은폐 이유 . 이종기 변호사에게 금품, 향응 수수가 확인됨 - 이종기에 대한 주위의 평가 15:03- 이종기 리스트 취재(사건 수임 내역) - 부장검사 출신임을 내세워 사건 수임 - 사건을 소개 받은 댓가로 검찰, 경찰등에 소개비 제공 28:41- 이종기의 비도덕적인 사건 수임 - 불성실변론에 성공보수까지? - 원고, 피고 쌍방수임 - 탈세의혹 43:48- 구조적 모순으로 고민하는 변호사들 - 대전법조비리를 표현한 시사만화 - 전관예우 변호사들의 건재 57:57- 클로징(윤길룡, 홍상운) |
|||
PD수첩, 350회 | 19990126 | 49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23- 프롤로그 05:54- 오프닝(안택호, 김환균) 06:53- 대전교도소의 일상 27:03- 교도 행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 청주여자교도소 . 시설낙후로 인한 추위로 건강 문제가 심각 - 건달징역의 실상 . 조직폭력배나 강력범들이 교도소 내에서 세력을 형성, 다른 재소자들을 괴롭힘 - 교도소의 대형화와 과밀수용의 문제 - 징벌에 대한 정확한 규정 필요 . 교도관의 재량에 달려있어 인권문제가 심각 44:40- 클로징(안택호, 김환균) |
|||
PD수첩, 349회 | 19990119 | 50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22- 프롤로그 06:09- 오프닝(김영호, 곽동국) 07:15- 밀거래업자 박00씨 - 천연기념물이나 희귀동물들을 잡아 밀거래 함 13:00- 공공기관의 밀렵거래 - 부산 동래 동물원 . 까다로운 법적절차 없이 쉽고 값싸게 전시회용 동물을 구함 - 대구 달성공원 동물원 . 동물을 서로 필요에 따라 맞교환 19:49- 동물 살상 무기들 - 올무, 창애(덫), 함정 등 22:50- 엘리트 밀거래 꾼 - 연구 박제 표본을 자연학습원 박물관에 기증하고 돈을 받음 25:49- 박제 표본을 둘러싼 거래 33:45- 동물원의 허술한 관리체계 37:20- 호랑이 밀거래와 유통 - 호랑이의 밀거래가 - 한국의 호랑이 선호 경향 - 대구 약령시의 호랑이 유통 43:59- 불법 원숭이 밀거래 46:24- 클로징(김영호, 곽동국) |
|||
PD수첩, 348회 | 19990105 | 50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28- 프롤로그 06:00- 오프닝(이용석, 권문혁) 07:53- 예산 낭비 사례1: 나랏돈은 나의 금고? . 구청장의 판공비 예산 내역(구청장의 재량으로 업무에 관계없는 일에 돈을 씀) 14:05- 예산 낭비 사례2: 내돈 아니니까 어디에 쓰던 상관없다! . 상수원 보호 구역 보상금으로 쓰지도 않는 공동작업장 건설 . 사용하지 않는 도로를 냄 22:36- 예산 낭비 사례3: 안써도 문책, 쓰기 위해 쓴다 - 일동-퇴계원간 47번 국도변 . 연간 도로 보수비 5,509억을 쓰기위해 불필요한 공사 시행 - 경기도 45번 국도변 27:29- 예산 낭비 사례4: 정책이니까 무조건 쓰고 본다 - 경기도 안양시 - 충남 공공 근로 사업장 33:21- 예산 낭비 사례5: 오락가락 정책에 비용은 이중 삼중 . 전자주민카드 도입 백지화로 무용지물이 된 기기들 37:08- 예산 낭비 사례6: 일단 시작했는데 누가 말려? 41:52- 예산낭비 감시기관 '지방의회와 국회' . 구청의 예산을 감액없이 통과 시킴 47:50- 클로징(이용석, 권문혁) |
|||
PD수첩, 347회 | 19981222 | 68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00- 타이틀
00:00:22- 프롤로그 00:06:36- 오프닝(윤길룡, 김영호, 박상일) 00:07:40- PD수첩 그 후! - 이 부모를 고발한다(98.6.9 방송) . 친부모가 어린 딸들을 데리고 다방 영업 . 방송 후 법이 개정됨 - 대도 조세형, 15년만의 진실!(98.5.12 방송) . 수사 축소에 대한 의혹을 조사함 . 교도소 내의 인권문제 - 노예의 섬 '양지마을' . 노재중 이사장 구속(재판 진행중) . 제조업체가 직접 원생에게 임금지불 - 건(健)이와 강(康)이의 출생신고 . 미숙아 였던 건이와 강이의 현황 - 홈리스에서 앵벌이까지(98.2.17 방송) . 노숙자들의 현재 상황 - 세계정교, 총령본존 어디계십니까?(98.11.24 방송) 00:36:23- PD수첩이 본 1998! - 북한 아이들이 죽어가고 있다!(98.9.1 방송) - 방송문화,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98.2.10 방송) - 위기의 한국신문, 개혁은 오는가?(98.3.1 방송) - 오보, 그진실을 밝힌다!(98.9.22 방송) . 한국신문들의 오보에 대한 진실을 밝힘 01:01:15- 1998 PD수첩 수상작! 01:03:23- 클로징(윤길룡, 김영호, 박상일) |
|||
PD수첩, 346회 | 19981215 | 50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23- 프롤로그 05:13- 오프닝(곽동국, 홍상운) 06:05- 두 전직 대통령들의 추징금 환수 작업 - 전두환씨의 추징금 납부는? . 추징금 2,205억원 중 312억원 정도만 환수함 - 노태우씨의 추징금 납부는? . 2,628억원 중 1,741억 환수 19:28- '92 대선자금에 얽힌 의혹들은? - 대선자금 지출 보고서의 진실 - 김현철 비리사건 29:20- 우리정치의 구조적 문제와 대안 - 세풍사건 . 국세청이 강압에 의해 기업으로부터 선거자금을 모음 . 정치계의 정경유착의 구조적 비리를 보여줌 - 공식적인 후원회를 통한 정치자금 모금 46:47- 클로징(곽동국, 홍상운) |
|||
PD수첩, 345회 | 19981208 | 48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22- 프롤로그 03:39- 오프닝(권문혁, 김환균) 04:38- 서울시 중구 만리동의 사례 - 아파트 재개발로 인한 인근 주민들의 피해 - 공무원들의 복지부동, 무사안일 태도 09:59- 새 정부 출범후 개혁 진행 현황 - 1년전 취재지역(강화군) 방문 . 공로연수나 전출로 인원감축 . 실제 감원 인구보다 적은 인원이 감원됨 - 인천시청 - 공보처의 폐지의 현실 . 별도정원으로써 실제로는 감축되지 않음 25:20- 정부 산하기관의 개혁과 문제점 30:57- 민영화된 공기업의 문제점 - 국정교과서(주)의 민영화 사례 - 성급한 민영화의 문제점 . 단계적인 민영화가 아닌 성급한 민영화로 여러문제 야기 - 대한교과서의 인수능력에 대한 의혹 45:20- 클로징(권문혁, 김환균) |
|||
PD수첩, 344회 | 19981201 | 50분 | 상세열기 |
방송정보
방송내용
00:00- 타이틀
00:22- 프롤로그 04:25- 오프닝(안택호, 박상일) 05:31- 변호사의 과다한 수임료 - 녹색소비자문제연구원 . 변호사의 과다 수임료 반환운동을 펼치고 있는 시민단체 - 김완회씨 사례 - 영종도 주민들의 사례 15:27- 변호사의 서비스 부실 - 김상호씨의 사례 - 이영범씨의 사례 21:24- 변호사들의 탈세 30:49- 법률 서비스 향상을 위해 요구되는 쟁점과 대안들 - 변호사 적정수에 대한 논란 - 징계권의 부족 - 계약서, 영수증등의 확실한 문서 필요 - 제도의 확충과 새 제도의 도입 필요 46:00- 클로징(안택호, 박상일) |
프로그램 구입안내
02-789-0123- 평일:09:00~18:00
- 점심:12:00~13:00
- 토요일, 공휴일 휴무